최근 카페나 마트 등 일회용품 사용이 많은 곳에 대한 규제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장례식장에서만큼은 그저 딴 나라 얘깁니다.
홍주환 기자입니다.
【 기자 】
밥과 국, 반찬 등 십여 가지 음식이 모두 일회용 접시에 담겨 있습니다.
쓰레기봉투는 쓰고 버린 일회용품들로 가득합니다.
▶ 인터뷰 : 장례식장 관계자
- "(일회용품을) 얼마 정도 쓰는 것 같으세요."
= "(하루 한 팀에) 저희가 기본으로 나가는 게 18만 원 정도(그릇 400개·컵 400개·수저 200개 등), 많이들 30만 원까지 쓰고 하니까…."
카페와 대형마트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곳에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추세와는 딴판인 것입니다.
규제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환경부는 2014년부터 조리·세척시설이 있는 장례식장의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회용품을 유족이 사거나 상조회사가 제공할 때는 예외여서 사실상 효력이 없습니다.
▶ 인터뷰(☎) : 환경부 관계자
- "사실 지금 장례식장은 규제 예외를 받는 것은 맞고요. 아무래도 여러 고려할 부분이 있으니까…."
▶ 스탠딩 : 홍주환 / 기자
- "환경부는 공설 장례식장에 대해선 관할 지자체가 일회용품 사용을 자제시키고 있다고 밝혔지만, 공설은 전체 장례식장(1천96개) 중 4%(45개)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렇다 보니 모범을 보여야 할 공공기관들은 장례식 일회용품 지원에 막대한 예산을 쓰고 있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의 경우, 올해 장례식 일회용품 지원에 책정한 예산은 16억 원이 넘습니다.
▶ 인터뷰(☎) : 윤순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플라스틱 용품 자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세금으로 부과돼 가격이 비싸져야…. 그러면 그걸 쓰지 않을 요인이 생기는데, 지금은 너무 싸잖아요."
장례식장 일회용품 사용 규제를 강화해 친환경 장례 문화 정착을 앞당겨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홍주환입니다. [thehong@mbn.co.kr]
영상취재 : 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 이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