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혈액 속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의 양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 예방과 진행 억제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와 이동영 서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 공동 연구진은 혈중 타우 단백질과 또다른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의 농도비를 분석해 뇌 속 타우 단백질 축적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치매 환자의 약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세포 손상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려운 만큼 조기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인 타우 단백질의뇌 축적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하지만 검사를 위해서는 고가의 양전자 단층촬영(PET) 장비를 사용해야 했던 만큼 많은 환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혈중에 존재하는 타우 단백질이 뇌 안의 타우 단백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인지기능 정상군 52명, 경도인지장애군 9명, 알츠하이머성 치매군 15명 등 총 76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묵인희 교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중 타우 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 타우 단백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의 진행정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만큼 치매의 예방 및 진행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묵인희 교수는 "선행 연구에서 발굴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