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으로 진료받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2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13~2017년 성조숙증 빅데이터를 분석해 관련 질환자 수가 5년간 연평균 9.2% 늘었다고 밝혔다. 2013년과 비교하면 2017년 진료인원은 9만5401명으로 무려 42.3% 증가했다.
성조숙증은 다른 또래 아이들보다 2차 성징이 2년 정도 빠른 것을 말한다. 2차 성징은 여아의 경우 8세 이전, 남아는 9세 이전에 시작되면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 성조숙증인 경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 키가 작을 확률이 높다.
성별 진료 인원은 남아의 경우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 증가했고 여아는 이 기간 6만1086명에서 8만5806명으로 연평균 8.9% 늘었다. 정인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환경 오염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빠른 사춘기 가족력 등이 성조숙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또 "여아의 경우 성조숙증 유병률은 같은 기간 조사된 남아에 비해 10~30배 정도 높다"며 "그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성 호르몬과 비슷한 환경 호르몬이 많이 발견되고 있고 비만의 경우 지방 세포에서 여성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점 등이 남아에서보다 여아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는 성조숙증 진료인원 중 5~9세가 5만2000명(55.5%)으로 가장 많았고 10~14세가 4만1000명(43.3%)으로 뒤를 잇고 있다. 여아는 5~9세가 59%(5만615명)로 가장 많았고 남아는 10~14세가 71.1%(6821명)였다.
성조숙증 관련 진료비는 2013년 354억원에서 2017년 499억원으로 145억원 늘었다. 특히 약국 1인당 진료비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증가추세(연평균 2.1%)를 보이고 있으며 입원과 외래 1인당 진
정 교수는 "성조숙증 당사자는 조기 골단 융합으로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며 신체·정신적 불안 문제와 성적 학대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며 "특히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를 경우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고 불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