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제공: 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21일 국내 금융기관 전문가 96명(해외 금융기관 한국 투자 담당자 11명 포함)을 상대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조사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시스템 리스크란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며 실물경제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상황으로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조사결과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로 미중 무역분쟁(응답비율 67%)을 1순위로 꼽았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를 우려하는 응답도 많았다. 이어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응답비율은 복수응답 기준으로 응답자별로 5개 리스크를 응답하도록 한 후 리스크별 응답 합계를 응답자수로 나눠 계산한 것이다.
지난해 11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해 보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되고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아울러 응답비중 50% 이상인 리스크 요인 개수가 줄어드는(4개→2개) 등 특정 리스크 요인에 우려가 집중되는 정도가 이전에 비해 축소됐다.
↑ [자료 제공: 한국은행] |
응답자들은 또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미중 무역분쟁,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로 인식했다.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해 11월 서베이 시점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높다'로 응답한 비율은 29%→4%로 하락한 반면 '낮다'는 응답비율은 27%→52%로 상승했다. 한은은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데에도 일부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