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약물 부작용 예측 등을 돕는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에 정부가 올해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총 258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AI 플랫폼이 개발되면 신약개발 기간을 7∼8년 정도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의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인공지능 및 신약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이 참여한다.
복지부와 과기정통부가 밝힌 사업 추진 배경은 신약개발의 진입장벽 해소다. 의약품 분야는 1200조원에 이르는 거대시장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우 연매출 1조 이상을 기록할 수 있는 유망 분야지만 1조원 이상의 막대한 R&D 비용과 15년 이상의 긴 개발기간 탓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국내 제약사들의 참여가 제한돼왔다. 이런 진입장벽 극복을 위해 최근 AI를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방안들이 주목받는 가운데 정부도 이를 적극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 AI 플랫폼 개발에는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대 등 4개 기관이 참여한다. 아론티어는 서울아산병원의 유전체 데이터, 간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실험 데이터 등을 활용해 폐암·뇌암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 연구진은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퇴행성 뇌 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화여대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에서 새 효능을 발견하는 '신약 재창출' 플랫폼도 개발된다. KAIST 연구진은 기존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서울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 빅
이번 사업에서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다. 사업 종료 후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하며 플랫폼을 최신화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