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경제

'스마트 그린도시' 25개 만든다…2년간 2천900억 투입

기사입력 2020-09-08 15:42 l 최종수정 2020-09-15 16:04


환경부는 오늘(8일) 지역이 주도해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고 생활공간의 녹색 전환을 촉진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 지역 공모를 내일(9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올해 7월 발표된 그린뉴딜의 8개 추진과제 중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표 사업으로, 기후·환경위기 속에서 지속가능한 환경 도시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환경부는 11월 30일 접수를 마감한 후 서면·현장·종합평가를 거쳐 12월 말 25개 지역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총 2천900억 원 규모의 이 사업은 내년부터 2년간 시행됩니다.

전체 사업비 중 1천700억 원(60%)은 국고로 지원되며, 나머지 1천200억 원(40% 매칭)은 지방비로 투입됩니다.

응모를 원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지역별 기후·환경 여건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10개의 사업유형 중 여러 사업을 공간적, 유기적으로 연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패키지 환경개선 솔루션을 제시해야 합니다.

10개 사업 유형은 기후탄력, 물순환, 물안전·안심, 미래차, 자원순환, 생태복원, 생태휴식, 청정대기, 환경교육, 생활환경입니다.

연말에 결정될 25개 지역은 사업목적과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해 '문제해결형' 20곳과 '종합선도형' 5곳으로 구분해 선정합니다.

문제해결형은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해결을 위해 2개 이상의 사업을 결합, 커뮤니티 단위 수준에서 파급성이 높은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00억 원으로, 국비 60억 원과 지방비 40억 원이 각각 투입될 예정입니다.

종합선도형은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도시공간의 선제적인 녹색 전환을 위한 대표 사례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커뮤니티 혹은 그보다 큰 지역을 대상으로 3개 이상의 사

업을 결합합니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67억 원으로, 국비 100억 원, 지방비 67억 원이 각각 투입됩니다.

환경부는 지자체의 사업계획서 작성을 돕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지원단을 운영하며 상시 자문을 해 주기로 했습니다.

사업 공모 및 지원단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 및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종합뉴스 주말용 배너
화제 뉴스
오늘의 이슈픽
  • 인기영상
  • 시선집중

스타

핫뉴스

금주의 프로그램
이전 다음
화제영상
더보기
이시각 BEST
뉴스
동영상
    주요뉴스
      더보기
      SNS 관심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