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정부의 요구대로 부실채권 비율을 낮추는데 애를 먹고 있습니다.
정부가 연일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부실 비율을 줄이기가 녹록지 않기 때문입니다.
황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금융당국은 어제(7일)까지 부실 채권 비율 축소계획안을 제출하라며 연일 은행권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있을지 모를 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하려면 은행의 자본 건전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입장입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은행들은 곤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제시한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은행권은 약 20조 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처리해야 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부가 요구하는 비율 1%를 훌쩍 넘는 우리은행과 농협, 하나은행, 수협 등은 특히 애를 먹고 있습니다.
은행들이 선택할 방법은 크게 네 가지.
부실채권을 자체 상각하거나, 자산관리공사의 구조조정기금, 9월 설립되는 민간 배드뱅크에 넘기는 방안과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기관에 파는 방안입니다.
문제는 부실채권 비율을 무리하게 줄이는 과정에서 BIS 비율이 하락하고 순익이 감소하는 등 재무건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압박으로 부실채권이 한꺼번에 시장에 나오면 제값을 받기는 더욱 어려워집니다.
현 상황에서 부실채권 비율을 1%로 맞추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불만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비율을 맞추려면 사실상 1조 원의 자금이 필요한데 정부의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이렇게 되면 은행들이 부실 채권이 늘어날 것을 우려해 기업 평가를 느슨하게 해 구조조정이 오히려 더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MBN뉴스 황승택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