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B 신용평가시스템과 로니 신용위험평가시스템 융합
황성규 대표 "코로나19 피해 계층 정밀 지원에 기여"
황성규 대표 "코로나19 피해 계층 정밀 지원에 기여"
대출 플랫폼 ‘로니’를 운영하는 로니에프앤(로니)이 신용 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신용평가모델 알고리즘 검증 및 데이터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
↑ 로니에프앤(로니)이 신용 평가회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신용평가모델 알고리즘 검증 및 데이터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로니는 KCB 신용평가시스템(CSS)과 로니 자체 개발 신용위험평가시스템(CRSS)을 융합해 맞춤형 신용 평가모델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
이번 로니와 KCB의 업무협약은 코로나19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개인과 자영업자들의 피해 범위와 정도를 더 정밀하게 평가해 금융지원이 필요한 취약 계층을 선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로니 측은 신용 평가모델 알고리즘을 고도화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2020년 이후 정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들을 대상으로 현금지원과 긴급 대출지원 등 코로나 위기극복의 정책들을 시행해 왔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의 피해 규모와 지원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시간과 기준이 부족해 어쩔 수 없이 보편적 지원을 반복할 수 밖에 없었던 게 현실. 이 때문에 꼭 필요한 대상에게 충분히 지원이 이뤄졌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로니와 KCB는 이번 MOU를 시작으로 상호 협력해 금융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선별하거나, 자영업자의 신용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금융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용평가시스템(CSS)과 로니가 자체 개발한 자영업자의 신용위험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신용위험평가시스템(CRSS)를 융합해 맞춤형 신용 평가모델을 만들고, 필요한 기관에 제공해 국가 예산의 효율적 배분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해 합리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에서 시행한 D-테스트베드 사업에서 로니는 ‘취약계층 금융지원’ 부문에서 CRSS를 활용한 ‘코로나19 상황에 맞는 금융취약계층 그룹정의 및 선별적 대출지원’을 주제로 제출해 최우수상인 금융감독원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CRSS의 세부 모델인 CRSS-G는 금융지원 대상자들을 지역과 업종에 따라 세부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룹 내에서 매출 변화와 현금 흐름 등에 대한 상대평가를 통해 금융지원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해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황성규 로니 대표는 “로니의 신용평가모델이 국내 유수의 신용 평가기관인 KCB의 안정적인 신용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