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4.0% 늘어…반도체(39.8%)·철강제품(6.8%)·승용차(5.2%)↑
10월 경상수지가 약 98억 달러로 집계되면서 여섯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 월별 경상수지 추이. / 사진=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오늘(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경상수지는 97억 8,000만 달러(약 13조 8,500억 원)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 9,000만 달러)를 낸 뒤 5월(89억 2,000만 달러)·6월(125억 6,000만 달러)·7월(89억 7,000만 달러)·8월(65억 2,000만 달러)·9월(109억 4,000만 달러)에 이어 6개월 연속 흑자입니다.
흑자액은 작년 10월(74억 4,000만 달러)보다 많지만, 9월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해마다 10월끼리만 비교하면 역대 3위 기록입니다.
1∼10월 누적 경상수지는 742억 4,000만 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241억 8,000만 달러)보다 500억 6,000만 달러나 늘었습니다.
10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81억 2,000만 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9월(104억 9,000만 달러)과 비교해 23억 7,000만 달러 줄었습니다.
수출(600억 8,000만 달러)이 1년 전보다 4.0% 늘었습니다.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열세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품목 중에서는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39.8%)·철강제품(6.8%)·승용차(5.2%)·정보통신기기(5.2%)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중국(10.8%)·동남아(7.7%)·EU(5.7%)·미국(3.4%)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석유제품(-34.5%)·기계류 및 정밀기기(-4.2%) 등은 뒷걸음쳤습니다.
수입(519억 6,000만 달러)은 0.7% 줄었습니다. 원유(-17.9%)·석유제품(-13.3%)·석탄(-9.5%)·화학공업제품(-6.7%) 등 원자재 수입이 4.7% 감소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대로 반도체 제조장비(48.6%)·반도체(18.2%)·정밀기기(3.3%) 등 자본재 수입은 7.5% 늘고, 귀금속·보석류(72.9%)와 직접 소비재(15.1%)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8.8% 증가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17억 3,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적자 규모가 전월(-22억 4,000만 달러)보다는 작지만, 작년 동월(-12억 8,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오히려 커졌습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는 4억 8,000만 달러 적자였습니다. 중국 국경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여행 수입이 늘어 적자가 9월(-9억 4,000만 달러)보다 줄었습니다. 운송수지는 컨테이너선 운임 하락 등에 9월 4억 달러 흑자에서 10월 2억 3,000만 달러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34억 5,000만 달러로 9월(30억 9,000만 달러)보다 늘었습니다. 배당소득 수지(24억 9,000만 달러)가 전월(25억 8,000만 달러)과 비슷한 규모로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 월별 금융계정·자본수지 추이. / 사진=한국은행 제공 |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0월 중 129억 8,00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억 8,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2억 5,000만 달러 각각 증가했습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29억 1,000만 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채권 위주로 12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