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에 대한 경계령이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딥시크 측이 개인정보 보호 대책에 대한 설명을 내놓지 못하자 정부와 민간 할 것 없이 줄줄이 딥시크 차단에 나섰습니다.
신용수 기자입니다.
【 기자 】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하자, 유해사이트 차단시스템에서 차단됐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이곳은 해양수산부의 한 사무실.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 접속이 차단됐습니다.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난주 딥시크 측에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지만, 일주일째 묵묵부답입니다.
결국, 18개 정부 부처 중 3분의 2 이상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경찰과 공수처, 국세청 등도 딥시크 차단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 인터뷰(☎) : 경찰 관계자
-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보안상 안전성 확인 시까지 경찰청 업무용 PC의 접근을 차단 조치했습니다."
여기에 금융감독원·금융위원회 등 금융 공공기관과 시중 은행 상당수가 이미 딥시크를 포함한 생성형 AI 사용을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인터뷰 : 은행 관계자
- "은행 망에서 생성형 AI와 관련된 사이트를 접속할 수 없게 다 차단이 돼 있고요.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교육 같은 걸 통해서 직원들이 생성형 AI나 이런 걸 업무에 쓰지 못하도록…."
신세계와 롯데, 카카오 등 민간 기업들도 줄줄이 사내 딥시크 이용을 금지하는 등 딥시크 발 정보 유출에 대한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신용수입니다.
[shin.yongsoo@mbn.co.kr]
영상취재 : 김영호 기자
영상편집 : 김미현
그래픽 : 김수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