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우리 정부도 "통상 총력전"을 펴며 대응에 나섰습니다.
수출 바우처와 역대 최대 규모인 366조 원에 달하는 무역금융도 지원하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사령탑 부재로 정상 회담은 물론 장관급 회담도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어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홍지호 기자입니다.
【 기자 】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 담당 차관보가 미국 워싱턴을 찾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선데, 관세 부과 계획이 발표된 이후 정부 고위 당국자가 미국을 방문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 인터뷰 : 박종원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담당 차관보
- "잘 설명해서 양국 모두 이익이 되는 논의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3월 철강, 4월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 부과를 예고한 터라, 상황에 따라 장관 방문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범정부 차원의 수출 지원책도 내놨습니다.
관세로 피해를 본 기업 지원을 위해 수출바우처를 도입하고, 역대 최대인 366조 규모의 무역금융도 지원합니다.
▶ 인터뷰 :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이제부터는 통상 총력전입니다. 미국발 통상 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가별 명암이 엇갈릴 것입니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습니다.
권한대행 체제로 관세 무효화 등 근본적인 대응에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해 설득할 수 있는 창구도 사실상 없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김수동 / 산업연구원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장
- "만날 수 있는 레벨이 제한돼 있을 수밖에 없잖아요. 만나는 사람보다는 그 위에서 뭔가 결정이 된다면 한계가 있죠."
정국 혼란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려면 관계는 물론 민간 경제 사절단 등 소통 채널을 늘려 다양한 접근법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홍지호입니다. [jihohong10@mbn.co.kr]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영상편집 : 이동민
그래픽 : 김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