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이 오늘(15일) 열린 온라인 간담회에서 발언 중이다./출처 : 셀트리온 유튜브 캡처 |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은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오늘(15일) 서 회장은 트럼프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및 의약품 관세 부과 정책과 관련해 개최한 온라인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 회장은 "미국 약가가 비싼 건 사실이지만 이는 주로 오리지널 의약품에 해당하는 이야기"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미국 약가가 높은 건 제약사가 아니라 중간 유통 과정 문제로 인해 발생한 일"이라며 "이번 약가 인하 정책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등 중간 유통 구조를 주요 타깃으로 한다"고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제약사가 자율적으로 약가를 결정하지만, 이 과정에 PBM과 민간 보험사 등이 관여해 약가를 올리기도 합니다.
서 회장은 "중간 유통 구조가 단순화되면 바이오시밀러 경쟁이 유리해진다. 셀트리온 입장에서는 더 많은 기회가 생기는 것"이라며 "셀트리온을 포함해 국내 제약사 중 미국 약가 인하 정책의 영향을 받는 곳은 거의 없어 과민하게 받아들이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 정부의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해 "내년까지는 관세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앞서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2주 내 발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서 회장은 "미국에 판매 중인 '허쥬마', '램시마', '트룩시마' 등은 화이자 등을 통해 팔고 있는 만큼 셀트리온은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미 15∼21개월 치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관세가 어떻게 발표되든 내년 말까지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미국에서도 300만 바이알 수준의 완제의약품을 만들 수 있는 계약을 확보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원료의약품도 이미 전체 생산량의 15%는 CMO(위탁생산)를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며 "필요한 경우 미국으로 (생산) 장소를 옮길 수 있는 파트너와 장기 계약을 맺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미국 내 공장 투자에 대해선 "10만 리터(L) 공장을 한국에 지으면 1조 3천억 원이 들지만 미국에 건설하면 약
또 올해 사업 전망에 대해선 "적어도 4조 6천억~4조 7천억 원으로 5조 원 범위에서 매출이 나올 것으로 본다"며 "2038년까지 18개 제품을 추가해 총 40개 제품을 확보한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신용수 기자 shin.yongso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