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공 행진 중인 밥상물가 잡기에 나섰습니다.
가장 먼저 달걀에 칼을 빼들었는데요, 달걀 가격이 한 판에 7천 원을 돌파하는 과정에 담합이 있었는지 본격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승훈 기자입니다.
【 기자 】
알 낳는 닭, 그러니까 전국 산란계 농가의 90%를 회원사로 둔 대한산란계협회 본부.
이곳과 경기, 충남지회 세 곳에 공정거래위원회 현장조사관이 들이 닥쳤습니다.
최근의 달걀 가격 상승을 산란계협회가 주도했는지 본격 조사에 나선 겁니다.
협회가 고시한 산지 가격은 5월 말 개당 190원으로, 석 달 만에 30%나 인상됐습니다.
▶ 스탠딩 : 이승훈 / 기자
- "이번 현장조사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물가와 관련해 공정위가 칼을 빼든 첫 번째 사례입니다."
정부는 협회가 고시가격을 따를 것을 회원사에 강요했다면 공정거래법상 사업자단체 금지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형일 /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 "계란은 과도한 산지가격 인상에 대해 공정위의 담합조사를 추진하겠습니다."
지난달 달걀 30개 한판 소비자가격은 7,026원으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7천 원을 돌파했습니다.
산란계협회 측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대한산란계협회 관계자
- "사육 기준 면적 확대로 발생하는 수급 불균형, 즉 생산 부족을 생산자 탓으로 돌리려는 꼼수라고 생각합니다."
정국 혼란을 틈타 너도나도 가격을 올렸다는 의혹이 이는 가운데, 공정위의 칼날이 가격이 뛴 다른 품목도 겨눌 지 주목됩니다.
MBN뉴스 이승훈입니다.
[lee.seunghoon@mbn.co.kr]
영상취재 : 김영호, 김현우 기자
영상편집 : 이재형
그래픽 : 박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