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f7ac1\'>[MBN리치v class="ie10browser_wrapper" id="ie10browser_wrapper" style="display:none;">
VOD 시청 안내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서비스 종료에 따라
현재 브라우저 버전에서는 서비스가 원할하지 않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셔서 브라우저 업그레이드(설치)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멘트 】
지난주 한나라당과 정부가 과학기술부를 사실상 부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여기에 포함된 26개 이공계 국책연구기관 통합에 찬반이 엇갈리고 있어, 과학기술부 부활의 효과가 반감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정호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번 정부 들어 통폐합된 과학기술부가 사실상 다시 설치되기로 하면서 과학계는 환영과 경계의 표정을 동시에 짓고 있습니다.
대통령 자문기구였던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연구개발 예산권, 법률 제안권을 가진 장관급 행정위원회로 강화되는 것에는 과학계 전반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옵니다.
문제는 정부 방침의 핵심에 26개 이공계 국책연구기관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이 있는 것.
국책연구기관 별로 운영했던 연구과제와 조직이 교통정리되면서 혼란이 나타날 개연성이 큰 대목입니다.
일선 연구 현장에선 "오랜 세월 쌓은 각 연구기관의 독립된 브랜드 가치를 포기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인력 축소 얘기가 나올 수 있는 것도 불안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 인터뷰(☎) : 이운복 /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위원장
- "통폐합을 강행할 경우 현장에서 부딪치는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 건지, 현장의 혼란을 어떻게 막아낼 것인지에 대한 정부의 고민이 전연 없는 것 같습니다."
연구기관을 통합하는 문제가 격렬한 논쟁으로 번질 경우 사실상의 과학기술부 부활이라는 정책의 효과는 퇴색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의 이번 조치가 연구 현장에서 어떤 반응을 만들어낼지 주목되는 이유입니다.
MBN뉴스 이정호입니다. [ ice@mk.co.kr ]
[MBN리치 전문가방송 - 순도100% 황금종목 발굴]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