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유지훈 기자] tvN이 새롭게 선보이는 드라마마다 연타석 홈런을 쏘고 있다. 그러나 예능국은 이 성공에 가려져 조용하게 삐걱거리고 있다.
tvN은 드라마는 지난해 말부터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지난해 방송된 금토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은 8월22일 마지막 회 7.3%(이하 닐슨, 전국기준)라는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 한 것은 신호탄에 불과했으며 후속 편성된 ‘두 번째 스무살’은 7.2%로 인기리에 종영됐다.
그리고 이번 해부터는 신드롬에 가까운 성공이 이어졌다. ‘응답하라 1988’은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역사에 남을만한 18.8%의 시청률을, ‘시그널’은 12.5%라는 기록과 함께 미제사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냈다. 약세였던 월화극은 ‘치즈 인 더 트랩’을 시작으로 후속 편성된 ‘피리부는 사나이’까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
할머니와 로봇의 교류를 그린 ‘할매네 로봇’, 직접 기획한 프로그램으로 실력을 겨루는 ‘방송국의 시간을 팝니다’는 참신한 소재였으나 재미로 이어지기에는 다소 부족했다. ‘콩트앤더시티’는 과거 선보였던 ‘롤러코스터’와 같은 콩트로 재미를 얻는 듯 했으나 시청률은 부족했다. 결국 모두 낮은 시청률과 함께 종영하고 말았다.
‘집밥 백선생’은 방송 초기 큰 인기를 얻는 듯 했으나 뒷심은 좋지 못했다. ‘집에서도 혼자 해먹을 수 있는 요리법을 쉽게 알려준다’는 내용은 많은 호응을 불러일으켰으나 점차 소재는 비슷해졌고 결국 휴식기에 들어갔다.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역시 초기에 비해 다소 시들한 인기다.
![]() |
남은 것은 나영석 PD의 ‘꽃보다’ 시리즈다. 하지만 ‘꽃보다 청춘-in 아이슬란드’는 2회에서 최고 시청률을 갱신한 후 상승곡선을 그리지 못했다. ‘꽃보다 청춘 Africa’는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류준열과 고경표, 박보검, 안재홍이 출연해 인기를 누리는 듯 했으나 시청률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 최근 방송된 4회는 8.2%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그리고 출연진이 수영장에서 알몸으로 수영을 즐긴 것이 그대로 방송에 나와 비매너 논란까지 가세됐다.
tvN이 케이블 드라마의 신화를 쓰고 있는 것은 맞다. 그러나 예능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언제까지나 나 PD의 예능에만 기댈순 없다. 이제는 해결이 필요한 시점, 편성을 앞두고 있는 ‘시간탐험대3’ ‘집밥 백선생2’ ‘렛미홈’의 어깨가 무겁다.
유지훈 기자 ji-hoon@mkculture.com/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