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 김미화가 블랙리스트 보도 이후의 마음고생을 언급했다.
김미화는 25일 오전 서울 광화문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사무실에 나와 조사 신청서를 제출한 뒤 기자회견을 열고 블랙리스트 관련 입장 발표 및 피해 사례 증언을 했다.
김미화는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다”면서도 “진상조사위원회에서 문화예술인들이 그 동안 겪었던 일들에 대해 어려우시겠지만 조사를 해주시겠다고 하니, 나도 검찰에 가서도 참고인 조사를 했고요, 언론에서 상당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고 말했다.
이어 “저 개인적으로는 민형사상 법적 싸움을 할 것이기 때문에 국정원에서 발표가 있기 전부터 훨씬 전에 (사실상)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힘든 상황이 보도된 이후부터 오늘까지 엄청나게 고통받고 있다는 말씀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황석영 작가는 “과거 70~80년대에는 문화예술인에 대한 관리와 억압이 노골적이었다. 두 차례 민주 정부 거치고 나서 지난 두 차례 정부에서는 전과 달리 교묘하게, 여러 가지로 사안에 따라 혹은 개별적으로 분리해서 억압 또는 관리를 해온 것 같다”고 말했다.
황 작가는 “나는 과거 이명박 박근혜 정부가 자행해 온 블랙리스트 관련, 이 자리에 나와 공개적으로 조사 신청해달라는 요청 받았을 때 썩 내키진 않았다. 나는 작가로 살아온 50년 동안 늘 비주류였고 비판적 시각 견지해왔기 때문에 극우보수 쪽으로부터 좌파 혹은 빨갱이라는 비난을 받으며 거의 평생을 블랙리스트에 없는 불온한 작가로 살아왔다”고 말했다.
이어 “때문에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새삼스럽게 이런 얘기 하는 게 쑥스럽지만,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하고 가만히 있으면 안되겠다 싶어서 내가 겪고 있는 이야기를 전하고자 나왔다. 진상조사위원회에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라 밝히며 자신이 지난 정권에서 경험한 바를 소개했다.
김미화는 최근 공개된 이명박 정부 국가정보원의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높은 청취율을 자랑하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석연치 않게 하차하는 등 2010년 이후 방송 출연과 외부행사에 제한을 받아온 배경에 정권에 의한 적극적인 제재가 있었다는 주장. 이와 관련해 김미화는 지난 19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 ‘MB 블랙리스트’ 피해자 신분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황석영은 정부에 비판적 목소리를 꾸준히 내온 문학계 원로로 ‘세월호 참사 문학인 시국선언’에 참여한 이후 집중적으로 감시와 배제를 받아왔다고 밝힌 바 있
한편 진상조사위는 지난 18일 첫 대국민 보고 행사에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가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부터 시작된 사실이 국가정보원의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 문건을 통해 확인됐고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만큼, 특정한 시기를 한정하지 않고 조사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psyon@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