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가 가속하면서 작년 평균 기온이 1973년 기상청이 전국 관측을 시작한 이래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수 온도가 오르며 지난해 한반도로 향한 태풍은 역대 최다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했고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겨울철 눈을 보기 힘들었습니다.
오늘(16일) 기상청이 발표한 '2019년 연 기상 특성' 자료를 보면 작년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13.5도로 평년(1981∼2010년)보다 1도 높았습니다.
아울러 기상청이 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늘린 1973년 이후 2016년(13.6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최고기록과는 불과 0.1도 차이였습니다.
작년 연평균 최고기온으로 따지면 19.1도로 관측 이래 가장 높았고, 연평균 최저기온은 8.6도로 5위에 올랐습니다.
여름철 폭염이 1년 전보다 심하지는 않았으나 북쪽 찬 공기의 영향을 자주 받은 4월과 6∼7월을 제외하면 모든 달의 기온이 평년보다 1.1∼1.6도 높아 연 평균 기온이 상승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습니다.
기상청은 "2019년은 전 세계 평균 기온이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해였다"며 "우리나라의 연 평균 기온이 오른 것도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전국의 연평균 누적 강수량은 1천171.8㎜로 평년값(1천207.6∼1천446.0㎜)보다 적었습니다.
다만 월별 편차는 컸습니다.
작년 1월은 8.1㎜로 동월 강수량 기준 하위 5위에 들었으나 10월은 169.0㎜로 역대 가장 많이 내린 해로 기록됐습니다.
한반도로 온 태풍은 7개로, 평년(3.1개)보다 많았습니다.
이는 국내에 첫 공식 기상관측소가 설립돼 근대 기상업무를 시작한 1904년 이래 태풍 수로는 역대 최다 공동 1위 기록입니다. 앞서 1950년, 1959년에도 태풍 7개가 한반도를 강타한 바 있습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이 증가한 것은 해수면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이고, 눈이 줄어든 것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약한 탓"이라며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둘 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일부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작년 1월 강수량이 0.0㎜, 최심신적설(24시간 동안 새로 내려 쌓인 눈의 깊이 중 가장 많이 쌓인 곳의 깊이)도 0.0㎝로 1973년 이래 가장 적었습니다.
12월에도 인천, 대전, 포항, 대구, 전주 등에 눈이 내리지 않아 적설량 최소 1위를 차지한 곳이 출현했습니다.
작년 4월에는 쌀쌀한 날씨 때문에 유일하게 평균 기온(12도)이 평년값(12.2도)을 밑돌았습니다.
그러나 5월에 접어들면서 이른 고온 현상이 두드러져 평균 기온이 18.6도로 치솟으면서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전국의 장마는 작년 6월 26일 동시에 시작했으나 남부지방과 제주도에는 평년보다 강수
폭염은 1년 전보다 기세가 약했습니다.
작년 여름철(6∼8월) 폭염 일수는 13.3일로 1년 전(31.4일)의 41%, 열대야 일수는 10.5일로 전년(17.7일)의 59%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늦더위가 이어지며 가을철(9∼11월) 전국 평균기온은 15.4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