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이 이처럼 파행을 빚은 데에는 모바일투표 방식에 중대한 허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모바일투표가 경선 흥행에 발목을 잡는 분위기입니다.
김명준 기자입니다.
【 기자 】
가장 논란이 된 대목은 ARS 방식의 모바일투표에서 진행된 후보 안내 메시지입니다.
후보 4명의 이름을 끝까지 듣지 않고 투표한 뒤 전화를 끊으면 투표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는 겁니다.
기호 1~3번인 정세균·김두관·손학규 후보는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들이 번호를 누르고 나서 바로 끊어 '미투표' 처리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세 후보는 그 근거로 낮은 투표율을 들고 있습니다.
제주 경선 모바일투표 선거인단은 3만 2천여 명으로 전체 선거인단의 91%에 달하지만, 투표율은 59%에 그쳤습니다.
이는 앞서 치러진 두 차례 전당대회 모바일투표보다 최대 20% 포인트 정도 낮은 수치입니다.
'끝까지 후보 이름을 듣지 않으면 미투표 처리될 수 있다'는 사전 안내가 나오지 않았던 점도 반발을 사는 이유입니다.
애초 당 대선경선기획단에서 경선룰을 만드는 과정에서 안내 메시지를 넣으라고 지적했지만 당 선관위가 넣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 선관위는 특정 후보에 유리하도록 모바일투표 방식을 설계하지 않았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은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민주당 입장에선 경선 파행이 계속될 경우 민심이 등을 돌릴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대선정국에 커다란 악재를 만났습니다.
MBN뉴스 김명준입니다.
영상취재 : 이권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