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풀어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은데요.
유상욱 기자가 의미와 과제를 짚어봤습니다.
아시아 출신 사무총장의 탄생은 미얀마의 우탄트 총장 이후 35년만입니다.
그동안 서방국가들이 중심축을 이뤘던 유엔이란 공간에서 아시아의 영역이 넓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낳습니다.
특히 외교가의 변방이었던 우리나라의 정치 외교적 위상을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인터뷰 : 남성욱 / 고려대 교수
"한국인이 아무래도 문제해결의 주도권을 갖고, 한국이 좀더 국제무대에서 능동적으로 외교전개를 할수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 있다."
의미가 큰 만큼 반 차기총장이 안고 가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국제사회의 수많은 분쟁과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해야하는 일은 큰 부담입니다.
대량살상무기 확산, 국제범죄 활동 등 세계평화와 행복을 위협하는 요소들에 대한 대응도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또 유엔 창설 당시와 달라진 새로운 국제환경에 맞게 유엔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유엔 개혁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입니다.
인터뷰 : 반기문 / 차기 유엔 사무총장 "우리는 타인의 마음에 들기 위해서 개혁하는 것이 아니라 유엔이 대표하는 가치를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개혁하고자 함을 기억해야하며, 그 미래를 믿기 때문에 개혁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벼랑끝으로 치닫고 있는 북핵 문제가 반 차기총장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이미 외교장관으로서 북핵문제를 오랜동안 다뤄와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라는 평가도 많지만 오히려 한계에 부닥칠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습니다.
mbn뉴스 유상욱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