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등록 시작, 총선체제 전환…'與탈당파 파괴력·野후보 단일화' 최대변수
↑ 후보자 등록 시작/사진=연합뉴스 |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후보 등록이 24일 전국적으로 일제히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총선 정국의 막이 올랐습니다.
공천 작업을 겨우 마친 여야는 이날부터 당 조직을 본격적인 선거 체제로 전환하고 본선 승리를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습니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은 조만간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주요 공약 제시에도 속도를 내는 등 선거 운동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입니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경제실정 심판론'을 제기하며 대여 공격의 서막을 알렸고, 아직 공천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새누리당 지도부도 이르면 25일 이번 총선에 임하는 각오를 밝힌다는 복안입니다.
25일까지 등록을 마친 여야 후보자들은 오는 30일까지 예비후보 자격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으며,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31일부터는 13일간의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지게 됩니다.
이번 총선은 최근 몇 차례의 총선과 달리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한 여권 거물급 후보들의 행보와 야권 분열 이후 당 차원의 선거 연대에 사실상 실패한 야당 후보들의 지역구별 단일화 여부가 최대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새누리당은 비주류의 맏형격인 이재오 의원과 장기간의 공천 파동을 거치며 비박(비박근혜)계의 상징으로 급부상한 유승민 의원뿐 아니라 강길부 주호영·조해진·안상수·권은희·류성걸 의원 등 영남과 수도권의 비주류 의원들이 대거 탈당해 무소속 후보로 돌아왔습니다.
주류 친박(친박근혜)계에서도 김태환, 윤상현 의원 등이 낙천하자 무소속 출마를 선택했습니다.
여권 출신이 대부분인 한 탈당파 무소속 후보들은 현역 중진들이 다수인데다 지역 기반과 기존 지지표를 상당수 보유하고 있어 동정 여론까지 등에 업을 경우 기존 정당에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전통적으로 박빙의 결과를 보여온 수도권에서는 이들의 행보 하나하나가 부동층의 표심을 출렁이게 할 가능성이 큽니다.
안 그래도 제3의 교섭단체인 국민의당의 등장으로 17대 총선 이후 12년 만에 맞은 다자 구도가 이미 대형 변수로 등장한 가운데 나온 '무소속 변수'는 총선 구도의 불안정성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다자 구도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탈당 거물급들이 생환할 가능성이 비교적 커지기 때문이다. 당선이 되지 않더라도 자신을 '버린' 친정에 타격을 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여권 무소속 출마자들이 원외 탈당자들과 함께 '비박(비박근혜) 무소속 연대'를 조직하는 등의 세력화에 나설 경우 선거 판세는 더욱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내몰릴 수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포스트 총선' 이후 정계 개편까지도 겨냥한 상황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습니다.
반면 야권은 내부 분열과 맞물려 더민주 탈당 의원들이 무소속보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이끄는 국민의당으로 대거 흡수됐습니다.
친노(친노무현)계 맏형격이었던 이해찬 전 대표와 초선 강동원 의원이 더민주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고, 당 대표를 지낸 4선의 신기남 의원은 탈당 후 원외 정당인 민주당에 입당해 출마를 준비 중입니다.
3선의 박지원 박주선 김동철 주승용 의원과 장병완 권은희 김관영 유성엽 황주홍 부좌현 정호준 의원 등은 탈당 후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겼습니다.
이처럼 야권 무소속 변수는 거의 사라졌지만, 기본적으로 양당으로 나뉜 야권 후보가 표를 분열시켜 여권 후보에게 어부지리를 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더민주가 시도했던 당 차원의 야권 연대는 사실상 무산됐지만, 지역구별로 개인적인 야권 후보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권 후보들이 난립하면서 야권이 한동안 강세를 보여온 수도권에서조차 여권 후보들의 약진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거대 여당'의 출현만은 막자는 취지에서 선거 막판 지역구별로 야권 후보들
이와 함께 이번 총선에서는 야권의 '경제실정 심판론'과 여권의 '경제 발목 야당 심판론' 중에서 어느 쪽에 유권자의 힘이 실릴지와 선거 때만 불어온 '북풍(北風)'의 재연 여부, 전통적 변수인 투표율 등도 승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