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대표,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7주기 추도식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의 추도사를 듣고 있다. <이충우기자> |
이날 추도식에는 정세균 국회의장을 비롯해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김상곤 이종걸 추미애 더민주 당대표 후보(기호순)가 모두 모였다. 김 전 대통령의 가신 그룹인 ‘동교동계’ 좌장 권노갑 김대중재단 이사장,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씨, 김 전 대통령의 삼남 김홍걸 전 더민주 국민통합위원장,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아들 노건호씨 등도 이날 추도식에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김재원 정무수석이 참석했고, 박근혜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 노 전 대통령 부인인 권양숙 여사가 보낸 조화도 추도식장에 자리했다.
이날 추도식은 야당이 갈라진 후 열린 첫 추도식이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이날 추도식을 계기로 서로가 ‘DJ(김대중 전 대통령)의 적자’임을 강조하며 야권 지지자들을 상대로 선명성 경쟁을 펼쳤다.
문 전 대표는 추도식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을 니편내편으로 나누는 편가르기 정치가 우리나라를 멍들게 하고 국민들에게 절망을 주고 있다. 이럴 때 김대중 대통령이 했던 통합의 정치, 그 정신을 다시 간절하게 그리워하게 된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대표와도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 있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문 전 대표는 “우리가 어떤 방식이든 함께 힘을 모아서 반드시 정권교체를 할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 역시 “김대중 대통령의 혜인이 그립다. 많은 어려움 앞에 직면해있지만 김 전 대통령 말씀과 원칙을 명심해 위기와 난국을 극복하도록 하겠다”며 ‘DJ 정신 계승’을 강조했다. 다만 안 전 대표는 문 전 대표가 야권통합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답변 없이 추도식장을 떠났다.
보수정당 처음으로 호남 출신 당대표가 탄생한 새누리당 역시 호남 민심 사로잡기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날 추도식에서 눈시울을 붉히는 모습을 보인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김 전 대통령은) 호남의 위대한 정치인이다”며 “어렸을 때 보고 자라면서 국가·국민 위한 생각을 가슴속에 키워왔다. 어릴 때부터 정치 모델”이라고 말했다.
◆ 불참 손학규·박원순…최근 강진서 회동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박원순 서울시장,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은 이날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 시장과 손 전 상임고문은 지난 16일 손 전 고문이 머물고 있는 전남 강진에서 만나 식사를 한 뒤 배석자 없이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고 동문인 박 시장과 손 전 고문이 만난 것은 지난 2월 손 전 고문의 사위 빈소 이후 처음이다. 박 시장 측과 손 전 고문 측 모두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지만 칩거를 이어온 손 전 고문이 조금씩 기지개를 켜는 가운데 박 시장과 손 전 고문이 만나면서 야권 잠룡들의 대권 행보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추도식에서 야당 인사들 사이에서는 어색한 만남이 연출되기도 했다. 추도식에 앞서 귀빈실에서 문 전 대표가 김종인 더민주 대표에게 “안녕하세요” 인사를 했지만 김 대표는 간단한 인사만 했을 뿐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문 전 대표와 안 전 대표는 추도식장에서 만나 서로의 안부를 묻기는 했지만 별다른 이야기를 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문 전 대표는 안 전 대표에게 “미국 잘 다녀왔느냐”고 묻자 안 전 대표는 “이틀 쯤 됐다. 히말라야 다녀오실 때 힘들지 않았냐”고 대답했다. 이에 문 전 대표가 “(네팔) 카트만두까지 직항도 생기고”라고 말하자 안 전 대표가 “왕래가 많나보다”고 답변하기는 했지만 더 이상 이야기를 나누지는 않았다.
◆ 김종인 경제민주화 강연
김종인 대표는 추도식을 마친 뒤 이날 오후 국회에서 ‘경제민주화가 경제활성화’라는 주제로 공개강연을 열고 경제민주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최근 의원총회에서 사드 배치와 같은 국가안보정책에 대한 당내 대응을 다잡는 발언을 한 이후 이번엔 경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선 것이다.
김 대표는 “경제민주화란 제도를 통해 특정 세력이 경제전체를 지배하는 것을 막자는 것”이라며 “증세만으로는 우리나라의 양극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제도 개혁이 가장 시급한 부분으로 대기업 지배구조,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해, 과점상태인 통신시장을 꼽았다. 그는 “단번에 개혁에 나서면 반발이 클 수 있으니 당장 할 수 있는 분야부터 손을 대야 한다”며 “우선 상법을 개정해 기업 지배구조를 바꿔 기업 이사회가 오너에 휘둘리는 것부터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골목상권 침해와 관련해선 “청와대 근무 시절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을 만나 ‘자본주의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며 입을 땠다. 이어 “중공업으로 기업을 일으킨 점은 존경하지만, 이후 백화점과 같은 소매시장까지 진출하면서 중소상공인들에게 피해를 줬기 때문”이라며 “우리나라처럼 대기업들이 빵집과 커피숍을 차리는 일은 해외에선 찾아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동통신
[오수현 기자 /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