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로 합의됐던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가 무산된 이후 박영수 특별검사팀과 박 대통령 측이 추가 접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양측 간 대치가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특검팀과 정치권에 따르면 박 대통령 측이 지난 8일 일부 언론에 일정이 노출됐다는 이유로 대면조사를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전화로 통보하고 나서 특검팀과 박 대통령 측은 추가로 대면조사 문제를 협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양측은 각각 대면조사 무산 책임을 두고 언론 등을 통한 한 차례 '장외전'을 치렀다.
박 대통령 측은 원활한 대면조사를 위해서는 특검과의 신뢰가 중요한데 특검이 피의 사실을 여과 없이 유포하고 비공개를 약속한 대면조사 일정마저 일부 언론에 의도적으로 유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특검팀은 특검팀 내부에서 대면조사 일정을 흘린 적이 없다고 박 대통령 측의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특검팀 일각에서는 촉박한 수사 일정상 박 대통령 측의 '조사 전 비공개' 요구까지 수용한 마당에 특검팀이 조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는 정보를 유출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거꾸로 박 대통령 측이 조사 지연 내지 무산을 노려 고의로 일정을 언론에 흘리고 특검팀 측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게 아니냐는 볼멘 목소리도 나온다.
특검팀 관계자는 "청와대 쪽에서 대면조사를 먼저 거부한 상태에서 (먼저 재협의를 제안하기가) 예민한 상황"이라며 "대
따라서 대통령 대면조사 연기를 이유로 특검팀이 수사 기간 연장 주장을 압박용 카드로 꺼내든 상황에서 향후 청와대와 특검팀 간에 전격적으로 대면조사 일정 재합의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