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28일 심야에 기습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이 대기권 재진입에 실패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이상민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원은 17일 '화성 14형 2차 시험발사에 따른 김정은의 득과 실'이라는 제목의 분석 보고서에서 "화성-14형의 재진입은 실패라고 평가할 수 있다"면서 3가지 요인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우선 융제(화학적 삭마)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수천 도 고온의 플라스마 흔적(track)이 대기층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을 들었다. 수천 도에서 융제 물질이 승화되면 재진입체가 지나간 자리에 흔적이 남는데 이때 대기중 공기나 물 입자와 반응해 한동안 지워지지 않고 남아 주간이나 야간에도 식별된다. 하지만 이같은 흔적이 식별되지 않았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또 재진입체로 추정되는 물체가 일본의 홋카이도까지 근접해 NHK방송 카메라에 포착된 것을 분석한 결과, "재진입체가 불꽃을 일으키고 나서 공중에서 사라졌다"며 "이는 모의 탄두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서 내폭장치를 터뜨린 것으로 보기에는 불꽃의 모양이 이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꽃이 보이고 나서 공중에서 사라졌다고 하는 점과 이후에 추가적인 폭발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모의 탄두가 정상적으로 폭발하지 않은 채 비정상적으로 폭발하거나 타버렸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세 번째 근거로 그는 "정상 폭발됐다고 가정하더라도 카메라에서 관측된 폭발 고도가 높아 지상까지 도달하는 재진입 능력을 갖췄다고 인정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즉 카메라에 포착된 고도(대략 3∼4km)에서 정상적으로 폭발했더라도 핵탄두로서 위력은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은 화성-12형에서 14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시험발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