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처를 공개하지 않아도 돼 '쌈짓돈' '깜깜이' 오명을 써왔던 국회 특수활동비 내역 일부가 공개됐습니다.
참여연대는 이날 국회사무처로부터 제공 받은 2011~2013년 국회 특수활동비 내역을 홈페이지에 공개했습니다.
참여연대가 공개한 내역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13년까지 3년 동안 국회 특수활동비로 총 240억 원, 연평균 80억 원가량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출 명목으로 기재된 용처는 의장단 해외순방 경비, 교섭단체 정책지원비 및 활동비, 의정활동지원비 등 다양했고 단순 '국회특수활동비'로만 기재된 항목도 있었습니다.
해외순방 경비의 경우 18대 국회 후반기 의장을 맡았던 박희태 전 국회의장이 2011년 1월 알제리 방문 당시 7,200여만 원을 받아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대 국회 전반기 의장을 맡았던 강창희 전 국회의장의 2013년 1월 베트남 등 동남아 순방 당시엔 5,300여만 원이 지급됐습니다.
각 교섭단체는 정책지원비와 활동비 형태로도 매달 상당액을 받아갔는데, 2011년 기준 한나라당의 경우 정책위 명의로 월 1,200만~1,300만 원가량의 정책지원비를 수령했고, 민주당은 1,000여만 원의 정책지원비를 받아갔습니다.
양당은 또 교섭단체 활동비로 각각 2,600여만 원, 2,000여만 원을 지급받았습니다.
국회 상임위원장들도 매달 수백만 원씩의 특수활동비를 수령했는데, 2011년 기준 17개 상임위 위원장들이 받아간 특수활동비는 한 달에 600만 원씩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가 여야 간 갈등으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일 때에도 특수활동비는 꼬박꼬박 지급됐습니다.
18대 국회 시절인 2011
각각 2,600만 원, 2,000만 원 상당의 교섭단체활동비 역시 이상 지급됐습니다.
참여연대는 이날 공개된 내역을 토대로 분석한 국회 특수활동비 사용내역을 오는 5일 오전 공개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