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한 책임 있어"
"비협조적 태도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
![]() |
↑ 5일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서 안규백 위원장과 야당 의원들이 불출석한 김용현 전 장관이 있는 수감동으로 향하고 있다. /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야당 위원들이 서울구치소와 서울동부구치소 등을 방문해 현장 조사를 실시했지만 무산됐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늘(5일)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김용군 전 대령(전 제3야전사령부 헌병대장) 등을 상대로 ‘구치소 청문회’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당사자가 출석을 거부해 증인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국민의힘 특위 위원들은 증인 채택 등을 두고 반발하며 현장 조사에 불참했습니다.
야당 특위 위원들은 서울구치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규명 방해 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국조특위 위원들은 구치소에 대기하며 오랜 시간 기다렸고, 교도관을 통해 의사를 타진하면서 증인들에 현장 조사 협조를 요구했다. 소수 인원의 장소변경조사를 제안했지만 이들은 끝까지 거부했다”며 “윤석열, 김용현은 공직자로서, 내란 주동자로서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헌재에서) 부정선거 음모론을 앞
특위 간사인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제 구인할 권한이 국회에 있지 않아 고발 조치를 취하는데 내일 바로 결정해야 할 것 같다”며 “국정조사 기간 연장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