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오늘(9일) "대통령 탄핵 심판의 주요 증인과 더불어민주당의 탄핵 내란공작 협작을 당과 국민의 이름으로 고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
↑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주요 증인들의 위증과 증인 매수 의혹을 받고 있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박선원 의원 등을 당과 국민의 이름으로 고발해야 한다"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윤 의원은 오늘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대 야당은 12·3 비상계엄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내란으로 규정했다"며 "그리고 그 내란에 대한 근거는 지난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등 주요 증인의 진술에서 비롯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들 증인의 말을 근거로 이후 모든 정국의 흐름은 '계엄이 곧 내란'이라는 전제로 진행됐다. 그리고 야당은 대통령 탄핵소추안과 내란 특검법을 발의해 통과시켰다"며 "이후 공수처의 무리한 대통령 체포도 내란이라는 명분 아래서 강행됐다"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리가 개시되면서 계엄 당사자들 증언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윤 의원은 민주당의 '탄핵 내란공작' 협작을 주장했습니다. 특히 민주당의 김병주, 박선원 의원 등에 대해 증인 매수와 증언 왜곡에 대한 진상조사를 촉구했습니다.
윤 의원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은 검찰 공소장 내용을 전면 부인하고 있고, 국회에서 빼내라고 한 것은 '의원'이 아니라 '(특전사) 요원'이고, 기재부 장관이 받았다는 쪽지도 대통령이 아니라 자신이 작성해 전달했다고 증언했다"며 "대통령에게 정치인 체포를 지시받은 사실도 없다고 했다"며 증거의 오염 가능성 등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체포 명단'을 폭로했던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은 '오염된 메모' 논란을 자초했다고 문제삼았습니다. 윤 의원은 "(홍장원 1차장은)여 사령관에게 체포 대상을 통보받을 때 받아 적었다던 메모가 원본이 아니라고 밝혔다. 나중에 기억을 떠올려 보좌관에게 옮겨 적게 하고 자신이 가필한 메모이며, 원본은 버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메모장에 적힌 필체도 일부가 미묘하게 달라 한 명 이상이 모의해서 작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주요 증인을 사전에 만나 증언의 오염을 유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민주당 김병주. 박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