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명분 중 하나로 부정선거 의혹을 거듭 주장하고 있죠.
내일(11일)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과 선관위 보안점검 책임자였던 국가정보원 전직 고위급 인사가 출석해 이 의혹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일 걸로 보입니다.
부정선거론의 핵심은 개표 과정에서 투표지 분류기를 해킹, 조작할 수 있다는 건데요.
MBN이 선거 개표 현장을 재연해 이게 정말 가능한 건지 검증해봤습니다.
권용범 기자입니다.
【 기자 】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이곳은 선거 개표소를 실제처럼 만든 장소입니다. 지금 제 옆에 투표를 마치고 방금 도착한 투표함이 있는데요. 개표 과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지금부터 직접 재연해보겠습니다."
개표사무원들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별로 투표지를 나눕니다.
이어 투표지는 투표지 분류기로 들어갑니다.
기호 몇 번을 몇 명이 찍었는지 나누는 기계인데, 후보 표가 100장이 되면 분류기가 멈추고 이걸 사무원이 고무줄로 묶습니다.
결과는 바로 전산에 입력하지 않고 사무원이 제대로 분류됐는지 일일이 다시 검사합니다.
분류된 투표지는 심사집계부로 인계되고 여기서 심사계수기가 투표지 수가 정확한지 다시 검증합니다.
계수기 절차를 거치면 사무원이 개표상황표 종이에 직접 득표수를 작성합니다.
이후 선관위 위원이 상황표 검열을 하고 위원장이 서명해 상황표를 현장에서 공표합니다.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중요한 건 지금 보신 과정을 전산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한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부정선거 의혹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 투표지 분류기 해킹, 정말 가능한 걸까요?"
투표지 분류기는 전원용 선만 있고 인터넷과는 연결돼 있지 않습니다.
통신 기능도 없어 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혹여나 분류기가 해킹돼 숫자를 잘못 세도 사무원이 또 손으로 확인하고 계수기로 다시 세기 때문에 정정할 수 있습니다.
선관위 전산망이 해킹돼 전산으로 집계되는 개표 결과가 조작될 수 있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각 개표소에서 작성되는 상황표를 각 후보자의 참관인이 직접 현장에서 확인하고 후보자에게도 보고하는 과정이 있어 숫자에 차이가 있는 상태로 개표가 마무리되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MBN뉴스 권용범입니다. [dragontiger@mbn.co.kr]
영상취재 : 전범수·김영진 기자
영상편집 : 김민지
그래픽 : 송지수
#MBN #부정선거 #투표지분류기 #해킹 #김주하앵커 #권용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