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는 방향으로 대미 협의 추진
![]() |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늘(11일),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조치와 관련해 "다음 달 12일까지 우리 이익을 최대한 반영하는 방향으로 대미 협의도 추진하겠다고"고 밝혔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3월 12일(한국시간 13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대응입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미국 관세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라며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그는 "업계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지만, 동등한 경쟁 조건으로 기회 요인도 존재하는 만큼 업계와 소통하면서 철강 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불가피하게 피해를 보는 기업을 위한 지원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최 권한대행은 "일본, 유럽연합(EU) 등 우리와 유사한 상황인 국가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현지시간 10일, 예외나 면제 없이 모든 국가의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 |
↑ 현지시간 10일 캐나다 퀘벡 주 베칸쿠르에 있는 알코아 베칸쿠르 알루미늄 제련소 / 사진 = 로이터 |
이번 조치는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도입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알루미늄 보호 관세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그간 한국은 무관세 혜택을 받는 대신, 대미 철강 수출 물량을 연간 약 263만 톤(t)으로 제한하는 할당제(쿼터제) 적용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트럼프발 관세 정책으로 25%의 관세가 추가로
철강업계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비용 부담이 커지고 경쟁력이 약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수출 대기업들은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