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군 관련 인사들, 25일 행정부 관계자 대상으로 진행 예정
![]() |
↑ 사진=연합뉴스 |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오늘(13일) 청문회를 두 차례 더 열기로 했습니다.
내란혐의 국조특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위원회 운영일정 변경 안건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습니다.
다만 증인 명단에는 이견을 보여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후에 채택했습니다.
특위는 오는 21일 국방부와 군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25일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을 포함한 행정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청문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136명이 증인으로 채택됐습니다.
참고인은 봉지욱 뉴스타파 기자와 노영희 변호사 등 2명입니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여 전 사령관, 노상원·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등 5명은 두 차례 청문회에 모두 출석 요구를 받았습니다.
비상계엄 선포의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고 야당이 의혹을 제기하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도 증인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이 밖에도 방첩사, 정보사, 수방사의 위관급·영관급 장교들과 대통령경호처 소속 경호관, 국정원 요원 등 실무자들이 대거 증인으로 추가됐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김현태 특전사 707특임단장(대령)은 증인 명단에서 제외됐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전날 열린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증인 회유' 의혹을 제기하면서 김 대령이 증인 명단에서 돌연 제외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야당이) 뭐가 찔려서 이런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며 "모든 국정조사 절차는 유리하거나 불리한 증인들을 고루고루 불러와서 다 들어봐야 진상이 규명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난장판' 형태로 갈 개연성이 많다는 판단하에 빼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이미 회유, 위증교사 같은 말들이 나오고 있다. 수사기관에서 판단하면
앞서 내란혐의 국조특위는 어제(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 조사특별위원회 활동기간 연장의 건'이 가결되면서 오늘(13일)까지였던 활동기간이 15일 연장돼 28일까지 활동하게 됩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