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민주당 회유' 논란은 계엄 직후 곽 전 사령관의 증언에서 시작됩니다.
당초 인원, 요원이라고 말했는데 민주당이 '의원'이라고 유도하면서 곽 전 사령관의 발언도 바뀌고 있다는 거죠.
그런데 이 표현, 대통령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데요.
당시 어떤 발언이 오갔는지 최돈희 기자가 정리해드립니다.
【 기자 】
비상계엄 해제 이틀 뒤, 민주당 의원들을 만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 인터뷰 :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지난해 12월 6일)
-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들을, '요원'들을 밖으로 이렇게 좀 빼내라. (국회의원들을요?) 예. "
지시 대상이 국회의원으로 지목되면서 파장이 일었습니다.
인원이냐 요원이냐, 의원이냐 표현이 모호하다는 논란이 일었지만 나흘 뒤 곽 전 사령관은 국회에 출석해 이렇게 답했습니다.
▶ 인터뷰 : 곽종근 / 전 특전사령관(지난해 12월 10일)
-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
그런데 곽 전 사령관의 이 국회 증언이 있기 하루 전 검찰 진술이 달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 인터뷰 : 송진호 / 윤석열 대통령 법률대리인(지난 6일)
-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가 추가돼요. 12월 10일부터. 이렇게 진술이 바뀐 이유가 뭡니까."
국민의힘은 곽 전 사령관 진술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동시에 그 배경에 민주당의 회유가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지시 대상에 따라 대통령 탄핵 심판의 핵심 쟁점인 국헌 문란 여부가 판가름 나는데다 민주당 주도의 탄핵의 정당성도 흔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민주당은 관련 의혹에 대해 반발하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국회 탄핵소추위원단 소속인 박범계 의원은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을 향해 즉시 고발하겠다며 반박했습니다.
MBN뉴스 최돈희입니다.
[choi.donhee@mbn.co.kr]
영상편집 : 이유진
그래픽 : 주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