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대통령의 거취 문제를 두고 국민의힘이 또다시 출렁이고 있습니다.
국회팀 최돈희 기자와 뉴스추적 이어갑니다.
【 질문1 】
결국 김문수 후보에 결정에 달린 것 같은데 김 후보의 생각은 뭔가요.
【 기자 】
정확한 의중은 알 수 없지만 입장이 달라진 건 없습니다.
▶ 인터뷰 : 김문수 /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난 8일)
- "본인이 탈당하겠다 이런 것은 몰라도 정당의 지도부가 문제가 있으면 잘라낸다, 인기 떨어지면 잘라낸다, 이런 것들은 정당의 원리에는 맞지 않는다."
오늘도 대통령 본인의 결정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 질문1-1 】
그럼 윤 전 대통령의 결정을 마냥 기다리겠다는 건가요.
【 기자 】
그 부분이 바로 고민되는 지점일 겁니다.
김 후보로서는 윤 전 대통령이 빠른 시일 내에 거취를 정해주길 바라는 눈치입니다.
거취가 결정돼야 당내 의견을 모으고 그에 맞는 선거 전략도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김용태 비대위원장의 탈당 권고도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압박 차원인데 김 후보와 사전 교감이 있었던 걸로 보입니다.
【 질문1-2 】
탈당 권고 조치, 예상 외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 기자 】
그만큼 국민의힘이 쫓기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반명 빅텐트로 일대일 구도를 만들어야 그래도 해볼 만한 판세인데 윤 전 대통령의 거취가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내에선 한동훈 전 대표를 끌어안고 더 나아가서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도 단일화 논의를 하려면 이 문제, 핵심 선결 과제입니다.
선거 때마다 분수령이 되는 후보자 토론회를 앞두고 양당의 공세를 사전 차단해야 한다는 위기감도 작용한 걸로 보입니다.
【 질문2 】
그런데 윤 전 대통령, 이같은 당의 요구 받아들일까요.
【 기자 】
앞서 김 후보와 윤 전 대통령과 통화 내용이 공개됐습니다.
양측의 주장이 다소 엇갈리고 있는데,
특히 "선거에 도움된다면 탈당하겠다"는 게 윤 전 대통령의 입장이었는데요.
'선거에 도움된다면' 이 부분에 눈이 갑니다.
조건부 수용입니다.
바꿔 얘기하면 탈당이 이번 선거에 도움이 안되면 수용 안하겠다는 겁니다.
실제로 김문수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MBN에 "윤 전 대통령의 입장도 당에 남길 원하는 걸로 보인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 질문2-1 】
탈당 조치는 이뤄질까요.
【 기자 】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결국 탈당이란 게 징계인데,
크게 4단계로 제명 조치를 제외하고 탈당이 가장 센 징계입니다.
당 윤리위를 열어야 하는데 선거 기간 지지층 이탈 같은 역풍 가능성에 정치적 부담도 있습니다.
자진 탈당을 요구하는 것도 이때문입니다.
【 질문2-2 】
스스로 당을 나온다, 어려울 것 같네요.
【 기자 】
8년 전이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요구가 있었습니다.
끝까지 버텼고 결국 제명 조치됐습니다.
▶ 인터뷰 : 정주택 / 당시 자유한국당 윤리위원장 (지난 2017년)
- "보수진영을 좀 더 보강한다고 할까요? 그렇게 하려면 이런 방법밖에 없다, 이렇게 판단이 됐습니다. "
당시 탄핵 선고가 나고 7개월 뒤였고 대선 5개월 만이었습니다.
대통령 탈당 조치가 그만큼 쉽지 않다는 건데 여론이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멘트 】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 : 이주호
그래픽 : 주재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