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非)법조인 대법관 증원 법안에는 "개별 의원 입법 제안에 불과" 답변
![]() |
↑ 시흥시민들에게 지지 호소하는 이재명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4일 경기 시흥시 배곧아브뉴프랑센트럴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흥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오늘(25일) 보수 진영의 대선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내란 단일화'라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이번 대선이 양자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극우 내란' 세력과 '헌정 수호' 세력의 대결이라는 프레임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이를 통해 상대 진영을 고립시키면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지지하는 기존 중도층 표심까지 흡수한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민주당은 특히 이준석 후보를 향해 집중 견제구를 날렸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23일 기자들과 만나 직접 "내란 세력 단일화"를 언급했고, 같은 날 TV 토론에서도 이준석 후보를 지목해 "내란 세력 후보와 단일화할 것이냐"고 물었습니다.
이번 대선이 내란 세력에 대한 '심판 선거'라는 측면을 부각함과 동시에 이준석 후보를 지지하는 기존 중도층을 겨냥하는 전략으로 읽힙니다.
리얼미터 조사(22∼23일 조사)에 따르면 이준석 후보는 중도층에서 14.6% 지지를 얻었습니다.
단일화가 성사되더라도 기존 이준석 후보 지지자들이 모두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민주당의 계산입니다.
이에 중도층 유권자를 향해 '12·3 비상계엄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구(舊) 여권 세력을 지지해선 안 된다'는 주장을 내세워 이준석 후보 지지층의 분산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민석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단일화가 성사되더라도 김문수·이준석 후보를 합친 표는 양자의 단순 산술 합산보다 떨어질 거라 확신한다"며 "내란 옹호냐, 아니냐에 대한 (김문수·이준석) 양 후보의 지지층 성격이 다르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중도·진보적 가치에 공감하면서도 강한 반명(반이재명) 성향을 지닌 이준석 후보 지지자들도 존재합니다.
보수 진영 단일화를 계기로 기존 보수층과 함께 '반명 표심'이 결집하며 일정 부분 시너지를 낼 경우 막판 판세가 박빙 구도로 흘러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국 대선 후반 레이스에서는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한 중도·무당층 유권자의 표심이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민주당은 대선 전까지 논란이 될 만한 입법이나 정책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재명 후보는 전날 유세에서 비(非)법조인 대법관 증원 법안과 관련해 "민주당이나 제 입장이 전혀 아니고 개별 의원의 개별적 입법 제안에 불과하다"며 "국민들이 이 나라의 운명을 두고 판단하는 시점에 불필요하게 그런 논쟁을 만드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민주당은 기존 지지층의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투표 캠페인도 이어갑니다.
최근 이재명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이어가며 진보 진영 지지층의 결집이 상대적으로 흐트러졌다는 판단입니다.
리얼미터 조사는 지
응답률은 8.3%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참조 가능합니다.
[강윤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forteyoung061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