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2차 태스크포스(TF)회의를 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정부가 내수 경기와 민생 회복을 위해 전 국민에게 15만 원씩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되,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최대 50만 원까지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16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만간 발표될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이 같은 내용의 민생회복지원금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기본적으로 전 국민에게 15만 원을 지급하되, 소득 수준에 따라 2차례에 걸쳐 차등 지급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전 국민에게 15만 원씩 지급하고,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 가정에는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40만 원을 1차로 선별 지급한 뒤,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추가로 10만 원을 지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일반 국민은 총 25만 원, 차상위계층은 4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는 50만 원을 각각 받게 되는 셈입니다.
정부가 이처럼 '차등 지급' 방안을 검토하게 된 배경에는 세수 부족 우려가 있습니다. 올해 국세 수입 예산은 382조 4,000억 원으로, 지난해 실적(336조 5,000억 원)보다 약 45조 9,000억 원 더 많게 책정됐지만, 1분기 경기 역성장 여파로 세수 확보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저소득층 중심으로 생계비 지원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민주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