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업무 오찬을 겸해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 세션에 참석해 있다. 오른쪽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 사진 = 연합뉴스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를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현지시간 17일, '에너지 안보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G7 업무 오찬 및 확대 세션에 참석해 에너지 안보와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세션에서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인공지능(AI), 에너지 연계를 주제로 두 차례에 걸쳐 발언했습니다.
첫 번째 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에너지 안보 달성과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가 글로벌 경제 성장과 번영의 관건"이라고 지적하며, "대한민국이 이를 위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에 적극 동참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어 "AI 기술 발전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기후 변동성과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에너지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다"며,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견고한 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구축 △‘에너지 고속도로’와 같은 효율적 인프라 마련 △사이버 공격에도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에너지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하며,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구체적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G7 회원국과 파트너국, 그리고 핵심광물 보유국들과의 양자·다자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G7 및 초청국 기념촬영 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두 번째 발언에서는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다루며, AI 시대의 거대한 변화 속에서 국제사회가 준비해야 할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AI 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한국이 AI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 협력에 적극 이바지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또한 저전력 AI 반도체(NPU) 개발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AI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망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민간의 역할을 강조하며 "민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과감한 세제 혜택과 규제 혁신, 국민 펀드 조성을 통해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을 추진하고, 아태지역(아시아-태평양 지역) 제1의 AI 허브 구축을 병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모든 인류가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한국이 올해 경주에서 개최하는 APEC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AI 협력 비전과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제시할 계획임을 언급하고, 주요국 정상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한편, 한국은
[최유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t590267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