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빵집 파리바게뜨에 느닷없이 세금 비상이 걸렸습니다.
점주들은 가난한 사람에게 기부한 빵에 대해서도 세금을 매기는 것은 부당하다고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그 속사정을 이정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경기도 성남에 있는 한 파리바게뜨 매장.
오후가 되면 지역복지시설 담당자에게 팔다 남은 빵이나 케이크를 기부하는데, 지난해에만 대략 1,400만 원어치를 기부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세무서에서 이 빵도 매출에 해당된다며, 세금을 부과하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추가로 내야 할 세금은 줄잡아 5천만 원 내외. 매장 점주로서는 청천벽력과 같은 이야기입니다.
▶ 인터뷰 : 우복식 / 파리바게뜨 점주
- "어이가 없고, 숫자도 저희가 상상하는 이상이어서 뭐라고 말을 할 수 없었어요."
국세청은 점주들의 신고내용을 믿지 못하겠다며, 본사와 가맹점 간 거래 자료를 근거로 과세하겠다는 입장입니다.
▶ 스탠딩 : 이정호 / 기자
- "과세의 근거는 바로 이 '포스'라는 기계입니다. 일종의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전국 각지 빵집의 판매현황을 SPC 본사에 집중시킵니다."
문제는 유효기간이 지나서 팔지 못했거나 지역복지시설에 기부한 빵에 대해서는 포스에 기록할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국세청은 근거 자료를 제시하면 세금을 깎아주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를 증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 인터뷰 : 강성모 / 파리바게뜨 가맹점주 협의회 대표
- "저희들의 실제 소득 자료가 상이하다, 상당 부분 차이가 있다는 것에 반발하는 것이고요. 충분히 자료를 보강해서 소명을…."
포스 시스템을 도입한 파리바게뜨 본사는 이런 상황을 뻔히 알면서도 국세청과 가맹점 간의 문제라고 외면하고 있습니다.
점주들은 외상을 팔거나 홍보용으로 빵을 덤으로 얹어주는 행사도 포스 매출로 잡힌다고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MBN뉴스 이정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