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면 광복 70주년입니다.
하지만 일본에 끌려갔던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여전히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생존자와 유가족들은 최소한의 관심과 위로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노승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90살 이병선 씨.
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3년, 강제징용된 이 씨는 일본의 무기 공장에서 2년 넘게 총기 조립에 동원됐습니다.
광복 후 천신만고 끝에 고향에 돌아왔지만, 남은 건 상처 뿐인 몸뚱이 뿐.
끔찍했던 기억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이 씨는 사람들의 무관심을 가장 견디기 힘들었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이병선 /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 "보상이고 뭐고 (정부가) 하나도 준 게 없어요. 보상 하나도 받지 못했고. 어떤 사람 하나 와서 어디 갖다 왔느냐고 물어보는 사람도 없어요. "
강제징용 피해자로 인정된 인원은 현재 23만여 명, 이 중 생존자는 이 씨를 포함, 수십여 명에 불과합니다.
더 큰 문제는 공식적인 정부 보상금은 일본 현지에서 사망한 피해자에게만 지급된다는 겁니다.
다른 대부분의 피해자와 가족들에겐 한 달 몇 만 원의 의료비 지원이 사실상 전부.
이들은 1965년 한일협정으로 일본이 지급한 보상금 3천억 원이 엉뚱하게 정부와 대기업들에게 갔다며 법 개정과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제완 /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원
- "피해자 유가족이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는 현실, 하나하나 피해자를 찾아나서야 할 정부. 피해자 보상책임은 일본정부가 아니라 한국정부에 있습니다."
광복 69년, 일제 식민지배의 그늘과 한숨이 아직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MBN뉴스 노승환입니다.[todif77@naver.com]
영상취재 : 민병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