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비 '뚝!'…저출산·고령화·제도적 지원 영향
![]() |
↑ 사진=MBN |
가계의 소비지출 중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관련 통계가 개편된 이후 3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가계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지난 2009년 정점을 찍은 이후 저출산·고령화와 유치원비 지원 등 제도적 영향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10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에 전국가구(2인 이상)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2.8%였습니다.
이는 통계청 가계동향의 소비지출을 구성하는 품목에 대한 새로운 분류가 적용된 2003년 이후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3분기 기준으로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3년 13.1%, 2005년 13.3%, 2007년 14.0% 등 계속 상승하다가 2009년 15.5%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는 2010년 15.1%, 2011년 14.4%, 2012년 13.4%, 2013년 13.3% 등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년 중 3분기는 새 학년이 시작되는 1분기 다음으로 교육비 지출이 많은 분기입니다.
연간 기준으로도 가계의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3년 11.0%에서 2009년 13.5%까지 계속 증가한 이후 2010년 13.0%, 2011년 12.3%, 2012년 11.7%, 2013년 11.4% 등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가계의 교육비 지출 비중은 10년 전 수준으로 돌아간 셈입니다.
비중뿐만 아니라 교육비 지출 자체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교육비 지출액은 연간 기준으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계속 증가했지만 2011년-0.
올해 1분기와 2분기의 교육비 지출액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3분기에는 -1.1%의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변화와 정부의 유치원비 지원 등 제도적 영향으로 가계의 소비지출 중에서 교육비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