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초·중·고등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전년보다 1.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 600만원 미만 가구의 사교육비를 줄어든 반면 고소득 가구는 사교육비가 늘어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교육부는 통계청과 공동 실시한 2014년 사교육비·의식조사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초·중·고등학교 1189개교 학생·학부모 7만8000여명을 대상으로 했다.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4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1.1%(3000원) 늘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009년 이후 3년간 감소했지만 2013년 증가세로 돌아섰고 지난해 다시 늘어나면서 2009년 수준을 회복하게 됐다.
학교급별로 초등학교는 23만2000원으로 전년과 동일했지만 중학교는 전년 대비 1.2%, 고등학교는 2.9% 상승했다.
소득에 따른 사교육비의 격차도 커졌다. 월평균 소득 600만원 이상의 고소득 가구는 사교육비를 늘린 반면, 600만원 이하 가구의 사교육비는 줄었다.
월평균 소득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 가구는 사교육비를 2.2%, 700만원 이상 가구는 3.1% 늘렸다. 반면 월평균 소득 600만원 미만의 가구는 전년 대비 0.5~7.8% 가량 사교육비를 줄였다.
예체능 교과의 1인당 사교육비도 2013년 4만7000원에서 지난해 5만원으로 7%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7.4%로 증가폭이 가장 컸고 고등학교는 4.3%, 중학교는 0.5% 올랐다.
반면 일반교과 사교육비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3.5% 감소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각각 1.2%, 2.6% 증가했다. 과목별로 국어는 6.2% 감소했으나 영어는 0.7%, 수학은 3.3% 늘어났다.
교육부는 1인당 명목 월평균 사교육비는 증가했지만 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 사교육비는 20만7천원으로 전년보다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교육부가 실질 사교육비 산정 시 전통적 분석 기준인 '소비자 물가지수(전년 대비 1.3%)' 대신 '사교육 관련 물가지수(전년 대비 2.6%)'라는 이례적인 기준을 사용했다”며 "소비자 물가지수에 근거할 때 실질 사교육비가 줄었는지는 분명치 않다”고
2009년 이래로 감소해 온 사교육비 총 규모는 올해도 감소세를 유지했다. 2014년 사교육비 총 규모는 약 18조2000억원으로 2013년보다 4000억원 줄었다.
사교육비 총 규모는 학생 수가 줄면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체 초·중·고 학생 수는 628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19만6000명(3.0%) 줄었다.
[김수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