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경비행기 추락 사고를 계기로 서울 관문인 김포공항의 운송 안전을 위해 운송용 항공기와 훈련용 경비행기가 혼재돼 사용되는 지금의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 항공 업계에 따르면 김포공항은 사설 비행훈련업체들이 전국에서 가장 선호하는 비행훈련 장소로 꼽힌다.
수도 서울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은데다, 레저 목적 뿐만 아니라 직업 조종사를 꿈꾸는 수요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공항공사가 지난해 정성호 의원(더민주•양주동두천)에게 제출한 '훈련용 항공기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국내 훈련기 운항편수는 2만8017회로 이중 58%인 1만6252회가 김포공항에 집중돼 있다.
같은 기간 13만8706편의 상업용 항공기가 뜨고 내려, 김포공항을 뜨고 내린 비행기 10대 중 한 대는 훈련용 경항공기였다.
문제는 영세한 관리주체와 기체 특성으로 인해 대형 항공기에 비해 안전도가 떨어지는 경비행기가 인구 밀집 지역이나 여객•화물 운송이 많은 공항에서 혼재돼 운영될 경우 그 만큼 사고 여파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데 있다.
2010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30건을 살펴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과 같은 대형 국적사들이 보유한 항공기에서 난 사고는 8건에 불과하고, 소형 항공 서비스나 교육 훈련 기관 소속 경항공기의 사고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우형찬 서울시의회 항공기 소음 특별위원회 위원장(더민주•양천3)은 "(이번 사고)경비행기가 자칫 도로나 인구밀집지역으로 추락했다면 지역 주민들은 패닉상태에 빠졌을 것"이라면서 "국토교통부의 안전 불감증이 부른 명백한 인재"라고 혹평했다. "25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서울 서남권 인구 밀집지역에서 비행교육업체가 조종 훈련을 하도록 한 것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무시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는 인천•제주공항 처럼 경항공기의 훈련 비행을 전면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부도 혼재 이용의 위험성은 인정하는 모습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국 지방항공청에 등록된 16개의 사용사업체가 보유한 항공기는 각 1~11대, 수강생은 각 2~50명 수준으로 영세하다"면서 "정비• 운항•기상 등의 판단을 개인업체에 맡기는 상황이어서 운송 항공기와 혼재돼 뜨고 내리는 상황이 위험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특히 사용사업체 등록 훈련비행기는 국토부 지정 전문교육기관과 비교해 최소한의 규제만 적용하는데다 정비•운항•기상 등 유지•관리 기능도 개인업체에 전적으로 기댈 수 밖에 없는 구조여서 더욱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따라 전문가들은 경항공기 시장 확장과 안정화를 위해 전용 훈련비행장을 만들고, 훈련 공역을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유병선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항공산업이 발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초기 조종사 양성 환경은 굉장히 제한돼 있다"면서 "초기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용 비행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정비• 운항•기상 등의 판단을 개인업체가 아닌 규모가 있는 전문업체 또는 공공기관에 맡기는 것도 안전 운항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성호 의원은 "훈련용 비행기 조종사들은 아직 미숙해 충돌, 경로이탈 등의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