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 살인사건 '여성혐오'보다는 '묻지마' 가능성 크다?
↑ 강남역 묻지마/사진=연합뉴스 |
지난 17일 강남역 인근 건물 화장실에서 23세 여성이 생면부지 남성의 흉기에 찔려 숨진 사건을 계기로 여성혐오 범죄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살인이 여성 혐오에서 비롯됐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이런 분석은 피의자 김모(34)씨의 진술을 토대로 합니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여자들에게 항상 무시당했다"고 말했습니다.
발언 내용이 알려지자 '묻지마 살인'을 부른 여성혐오 세태를 질타하는 지적이 쏟아졌습니다.
온라인에서 촉발된 피해자 추모와 여성혐오 비판은 오프라인까지 번져 강남역 10번 출구 벽면에 추모 쪽지가 가득 붙고 국화꽃이 쌓였습니다.
그런데도 사건 원인을 두고 전문가 견해는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혐오 범죄에 무게를 뒀습니다. 특히 여성혐오가 범죄 원인일 것이라는 세인들의 인식에 주목했습니다.
이 교수는 "직접적인 혐오 범죄로 볼 순 없지만, 무의식에 각인된 혐오로 인한 범죄로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진단했습니다.
"한 개인이 여성 혐오감을 느끼고 살인했는지보다는 사람들이 이 사건을 어떻게 받아들였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평가도 했습니다. 왜 여성혐오 범죄로 받아들이고서 이슈화했는지 그 맥락을 살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교수는 "사회불만을 여성에게 표출한 성격도 있다. 성차별 사회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누군가에 의해 죽을 수 있다는 불안이 젊은 층에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설명도 했습니다.
심각해지는 여성혐오 실태를 바라보는 문제의식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표출됐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실제로 최근 10여년 동안 인터넷 커뮤니티 등 온라인에서는 '된장녀', '김치녀', '김여사', '맘충' 등 여성 비하 단어와 혐오감을 담은 글이 넘쳤습니다.
대학입시나 고시, 취업 등에서 여성이 두각을 나타내자 남성이 역차별을 받는다는 생각이 확산한 탓으로 보입니다.
이나영 교수는 "성차별적인 사회구조 문제를 이번 사건을 통해 깨닫고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마련된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추모 쪽지 붙이기와 여성혐오 비판 운동에 많은 이들이 화답하는 것이 그 방증이다"는 부연도 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단순한 '묻지마' 범행에서 더 나아가 여성혐오 범죄로 보기는 다소 조심스럽다는 시각도 적잖습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조현병(정신분열증)으로 4차례 입원한 피의자 전력을 보면 의사 결정 능력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여성혐오 범죄라기보다는 그냥 묻지마 범죄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도 "정신 상태가 온전치 않은 피의자 진술은 신빙성이 낮다"면서 "망상에 의한 근거 없는 피해의식이나 환청 등을 토대로 진술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성혐오로 인한 분노가 범죄 원인인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여성혐오 범죄로 인식하는 움직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이수정 교수는 "여성이 범행대상이 된다고 인식하면 비슷한 범죄가 일어날 여지가 있으므로 여성혐오 범죄라는 용어를 신중하게 써야 하는데 횡설수설하는 피의자 진술을 그대로 발표한 경찰에 과실이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사건 원인과 별개로 강력범죄 피해자 80%가량이 여성인 만큼 이번 기회에 사회 시스템을 크게 개선해야 한다는 데는 대체로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이수정 교수는 "정신병력이 있는 범죄자는 치료를 강제하는 형사정책을 강화해야 하고 영업 기준도 정비해 남녀공용 화장실 등 범죄 취약 시설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이웅혁 교수는 '다음 생에는 부디 남자로 태어나라'는 유력 정치인 등의 추모메시지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남성으로 태어나야만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따라서 정치권은 치안정책을
살인 피의자 김씨는 조현병으로 4차례 입원했으며, 마지막 퇴원 후 두 달만인 지난 3월 가출하면서 약물 복용을 끊은 것으로 경찰은 추정합니다.
경찰은 19일 오전 프로파일러를 투입해 김 씨 심리상태 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