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가 보유한 임대아파트 단지 내 유휴 주민공동시설 65곳을 지역 공동체의 중심 거점으로 만드는 방안이 추진된다. 사실상 기능을 상실한 입주자회의실, 복지관 등을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동네 공작소, 예술 창작실, 공유텃밭 등으로 확 바꾼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중심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요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매일경제가 입수한 ‘SH공동주택 단지 내 유휴공간 활용방안 및 통합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결과보고서에는 이같은 내용의 ‘서울 창의마을 네트워크(가칭)’ 추진 방안이 포함됐다.
보고서는 미활용 시설이 속한 단지의 특수성을 따져 6개 공간 유형을 설정했다. ▲경로당·주민운동시설 등 주민화합형 ▲빨래방·수선실·식당 등 생활지원형 ▲공동텃밭·반찬가게·카페·공방 등 소득창출형 ▲공동육아·음식나눔·공유자동차 등 공동생활형 ▲미술관·공연장·영화관 등 문화향유형 ▲교육·동아리 등 능력개발형 등이다.
예술창작실·마을유통실·작은도서관·동네공작소·공유텃밭 등 주요 시설에 대한 활성화 방안도 제시했다. 먼저 예술창작실은 예술인복지재단, 서울문화재단 소속 예술인에게 창작 공간으로 빌려주고 임대료를 받아 수익을 낸다. 마을 유통실 내 협동조합·사회적기업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청년 창업가 디자이너 기획자 그룹과 협력도 유도한다. 작은 도서관의 경우 구립도서관이나 시립평생학습관과 연계해 안정적인 독서 문화를 형성한다. 동네공작소에는 공업용 미싱, 3D프린터 등 대형 공유시설을 설치해 주민들의 생산 활동을 장려하고 실제 소득 창출 효과를 높인다. 전문요리연구가 그룹과 연계해 친환경 먹거리 문화 장터 등을 열어 공유텃밭의 기능을 극대화한다.
지역별로는 강남 9곳, 강서 10곳, 관악 3곳, 노원 5곳, 동대문 6곳, 성동 11곳, 성북 1곳, 송파 4곳, 마포 2곳, 은평 3곳, 양천 11곳 등이 대상이다. 현장 조사와 주민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단지 유형·세대수·접근성과 유휴공간의 상태·위치·크기 등을 종합 분석했다.
이번 사업은 사회적·경제적 활동을 통해 생활밀착형 공동체를 만들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공군막사 등 유휴 시설을 활용해 공예마을을 꾸며 관광명소로 탈바꿈한 지중해 몰타 타알리 공예마을, 2004년 12월 쓰나미 사태의 폐허를 딛고 태국 최고의 생태관광 명소가 된 반 탈레 녹 마을 등 해외 사례도 적극 벤치마킹한다.
SH공사 관계자는 “아직은 용역 결과를 살펴보면서 65곳 유휴 시설에 대한 실제 사업 타당성과 주민 동의 가능성을 검토하려고 준비하는 단계”라며 “먼저 버섯공장 등 이미 경험이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