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MBN |
국내 원자력발전소가 밀집해 있는 고리·월성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 측정 건수가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명길 의원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전부지감시센터'의 지진계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리·월성원전 단지에서 측정된 지진 횟수가 2007년 이후로 증가 추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최대 지진동값 0.0001g를 넘는 유의미한 지진만 살펴보면, 원전 7기가 모여있는 고리원전 부지에서 10년 동안 각각 33차례의 지진이 측정됐습니다.
지진동값은 최대지반가속도(g)를 고려해 계산합니다. 진앙에서 발생한 규모가 아니라 원전부지에서 감지되는 지진력을 의미합니다.
국내 원전의 내진설계값은 0.2g(규모 약 6.5에 해당)이며,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3·4호기부터는 0.3g(규모 약 7.0) 수준으로 강화됩니다.
2007년과 2008년에는 고리 부지에서 각각 한 차례씩만 측정됐던 지진이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해인 2011년에는 4차례로 증가했습니다.
이어 2013년 6건, 2014년 5건, 지난해 3건 등으로 감소하는 듯 보였지만 올해 7건으로 다시 증가했습니다.
원전 6기가 가동 중인 월성원전에서도 2007년, 2008년에는 각각 1차례씩 측정됐던 지진 건수가 2013년 6차례, 2014년 5차례, 2015년 3차례에 이어 올해 7차례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지진의 진앙지로는 울산 동구가 9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올해 한반도 최대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경북 경주에서는 2014년과 지난해에도 각각 규모 3.5, 2.6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명길 의원은 "이번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사상 최대 규모라는 이유 때문에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지만, 그동안의 발생 추세를 보면 계속되는 일련의 과정이 아닌가 우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지진의 진앙지는 월성원전에서 불과 27㎞,
끝으로 "정부는 건설 중인 원전을 포함해 원자력발전소 16기가 모여있는 고리·월성 부지에 대한 정밀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