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한 해경 고속단정?…약화된 단속 능력, 들이받은 중국어선
↑ 해경 고속단정/사진=연합뉴스 |
서해 상에서 불법조업을 단속하던 해양경비안전본부 고속단정이 중국어선의 충돌 공격을 받고 침몰한 사고는 해양경찰청 해체 이후 약화한 단속 능력을 여실히 보여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해경특수기동대원 8명이 중국어선에 올라타고도 나포하지 못하고 빈손으로 철수하는 사이 중국어선들은 유유히 달아났습니다.
인천해양경비안전서에 따르면 7일 오후 2시 10분께 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을 7.2㎞ 침범한 중국어선 40여 척이 레이더에 포착됐습니다.
이들 중국어선은 인천시 옹진군 소청도 남서쪽 76㎞ 해상에서 무리를 지어 불법조업을 하던 중이었습니다.
인근 해상을 기동 순찰 중인 인천해양경비안전서 소속 3천t급 경비함인 3005함은 즉각 4.5t급 고속단정 2척을 바다에 내려 출동시켰습니다.
A(50·경위) 단정장 등 19명이 고속단정 2척에 나눠탔습니다.
쇠창살과 등선 방지용 그물을 설치한 중국어선들은 해경의 정선 명령에 불응한 채 지그재그로 항해하며 도주하기 시작했습니다.
40여 척 중 100t급 중국어선(쌍타망 철선) 한 척에 근접한 고속단정 1호기에서 대원 8명이 어선에 올라타 조타실 철문을 두고 중국선원들과 대치했습니다.
중국선원들은 철문을 걸어 잠근 채 저항했고, 해경대원들은 절단기를 이용해 강제로 철문을 개방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 순간 인근에 있던 다른 중국어선이 고속단정 1호기 측면을 강하게 들이받았습니다.
오후 3시 8분께였습니다.
1호기에 혼자 남아있던 A 단정장은 고속단정이 침몰하기 시작한 순간 바다에 뛰어들었습니다.
곧바로 또 다른 중국어선이 뒤집힌 고속단정 위로 배를 몰았습니다.
A 단정장은 다행히 인근에 있던 다른 고속단정에 구조됐지만 하마터면 중국어선에 부딪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후 주변에 있던 다른 중국어선 수십 척이 몰려와 우리 해경의 다른 고속단정까지 위협했습니다.
해경은 사고 방지를 위해 중국어선에 승선해 있던 대원 8명을 태워 3005함으로 철수했습니다.
그 사이 중국어선들은 유유히 중국 해역 쪽으로 배를 몰고 돌아갔습니다.
그동안 쇠파이프나 흉기를 이용해 위협하는 중국 선원들은 많았지만 어선을 이용한 '충돌 공격'으로 해경 고속단정이 침몰한 것은 처음입니다.
이번 사고는 2014년 해양경찰청 해체 이후 중국어선이 급증한 반면 상대적으로 대응력이 약화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제로 최근 2년간 봄어기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 출몰한 중국어선은 2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봄어기인 2013년 4∼6월 서해 NLL 인근 해상에서 우리 해군 레이더망에 포착된 중국어선 수는 총 1만5천560척이었습니다.
매일 중국어선 172척이 서해 NLL에서 조업한 것입니다.
이듬해인 2014년 봄어기에는 1만9천150척(하루 평균 212척), 2015년에는 2만9천640척(하루 평균 329척)으로 2년 만에 100%가량 급증했습니다.
반면 2014년 인천, 평택, 태안, 군산, 목포 등 서해안 지역의 중국어선 불법조업 나포 실적을 보면 총 259척으로 2013년의 413척에 비해 37%나 감소했습니다.
서해 5도 어민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서해5도 중국어선 대책위원회'는 이슈가 될 때만 찔끔찔끔 단속인력과 장비를 보강해서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을 뿌리 뽑을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서해 5도를 전담하는 해양경비안전서 규모의 인력이 있어야 1년 내내 지속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조현근 서해5도 중국어선 대책위원회 간사는 9일 "해적 수준으로 세력과 장비 성능이 좋아진 중국어선들을 작은 고속단정 2척으로 한꺼번에 나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번에도 우리 해역에서 불법조업 중국어선을 나포하지 못하고 돌아온 점은 아쉽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200∼300명 규모의 서해5도 전담 해양경비안전서가 신설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사고는
해경 관계자는 "사고 당시 충돌을 시도한 중국어선을 향해 소총과 권총을 쏘는 등 대응을 했다"며 "대원들이 흥분하면 인명피해가 생길 수도 있어 중국어선을 나포하지 못하고 철수했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