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환자' 6배 증가 "풀밭에 눕지 말아야"…심하면 장기 손상 위험
![]() |
↑ 사진=MBN |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라임병 환자는 작년 같은 기간의 6배로 폭증했고, 쓰쓰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도 작년보다 환자가 늘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라임병 환자 수가 31명(18일 현재)으로 작년 같은 시기(5명)의 6배 이상으로 늘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같은 날짜를 기준으로 SFTS 환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71명)보다 52.1% 늘어난 108명으로 집계됐고, 쓰쓰가무시증 환자 수도 지난해 1천375건에서 올해 1천736건으로 26.3% 증가했습니다.
법정 감염병인 라임병(제4군), SFTS(제4군), 쓰쓰가무시증(제3군)은 모두 진드기를 매개로 감염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여름 폭염에다 강수량도 이들 진드기의 서식에 알맞을 정도였던 탓에 진드기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예방은 진드기를 피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진드기들이 활동하는 4~11월에는 야외활동할 때 예방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풀밭 위에서는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아야 합니다.
산책로나 등산로 등 지정된 경로 외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풀밭에서 용변을 보지 않아야 합니다.
야외 활동 후에는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해야 합니다.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등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고 목욕, 샤워하는 것도 진드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라임병은 국내에서 산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남방참진드기 등에 물려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발열,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 등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고, 치료하지 않는 경우 일부에서 뇌수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년 이상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약 60%는 무릎 부위에 만성 관절염이 나타납니다.
치명률이 약 30%에 달하는 SFTS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리는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38도 이상 고열과 구토,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을 통해 사람에 전파된다. 대잎털진드기, 활순털진드기 등이 전파의 주범입니다.이런 진드기의 유충에 물리면 고열, 오한, 근육통, 큰 딱지(가피),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