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 과정에서 난데없이 토종닭이 논란이 됐습니다.
정부가 그간 토종닭에선 AI가 발견되지 않은 만큼 일단 유통을 허용한건데, 갑자기 이재명 성남시장이 정부 지시를 따르지 않겠다고 한겁니다. 정부가 토종닭 협회의 요청을 받아 토종닭을 제외시켰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요.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상황 아닙니까?
지난해 메르스 사태 때, 박원순 서울시장이 보건복지부의 정보 독점과 방역 실패를 비판하며 따로 움직이겠다고 했던 것과 비슷하죠.
지자체가 이렇게 중앙 정부와 다른 행동을 하는 이유는 뭘까요?
정부의 초기 대응이 마뜩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본도 지난달 우리와 같은 종류의 AI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지난 1일까지 181만 마리가 살처분 됐다는 것 외엔 더이상 발생 보고가 없습니다. 우린 지금까지 1천 6백만 마리가 넘게 살처분됐는데 말이죠.
일본 정부는 처음에 철새 분변에서 바이러스를 발견했을 때, 바로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3등급으로 올리고, 전면적인 방역을 시작했습니다.
또 해당 양계장 주변 3㎞까지를 가금류와 계란의 이동 제한구역으로, 10㎞까지를 반출 제한구역으로 지정했죠.
우린 전국적으로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는 중에도 한 달이 다 돼서야 위기경보를 최고 수준으로 올렸고, 예방적으로 살처분을 한 범위도 발생 농가와 주변 500m 이내였습니다.
날아다니는 철새가 옮기는 병을 어떻게 막느냐고 하는데, 그럼 일본에 있는 철새는 날지 않고 걸어다닐까요?
같은 시기, 같은 바이러스가 들어왔는데 초기대응에 따라 두 나라의 상황이 너무나 달라진겁니다.
AI가 자연재해라면 호들갑을 떨어서라도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옳지 않을까요?
사상 최악의 AI 사태, 황교안 권한대행은 뒤늦게 상황점검에 직접 나섰습니다. 이번 사태가 황교안 행정부의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는 만큼 호들갑을 좀 떨어보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