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서울시] |
서울시는 20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7 성(性)인지 통계'를 발표했다. 성인지 통계는 서울시가 2년에 한 번씩 발간하는 자료다.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나타나는 성별 불평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인구, 가족, 복지 등 10개 부문의 480개 통계지표로 구성돼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서울 내 여성가구주는 월세(43.8%), 자가(28.2%), 전세(26.2%) 순으로 살고 있고 남성가구주는 2명 중 1명이 내집을 보유(50.1%)하고 있었다. 전세(26.2%), 월세(22.1%)가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여성은 20대~50대가 월세, 60대 이상은 자가 비율이 높았다. 반면 남성은 20대 월세, 30대 전세, 40~60대 이상 자가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 가구주의 주택형태는 여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단독주택 거주비율이 높았지만 남성은 20대만 단독주택 비율이 높았고 30~60대 이상 남성은 아파트 거주자가 많았다.
또 기혼여성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고용계약 1년 이상)은 44.2%로 미혼여성 61.1%보다 16.9%포인트 낮은 반면, 남성은 혼인상태별 상용근로자 비율 차이가 0.5%포인트(미혼남성 53.6%, 기혼남성 54.1%)로 집계됐다.
서울여성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6만원으로 남성(310만원)의 63.2% 수준에 그쳤다.
30대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49.4%로 남성 70.9%보다 21.5%포인트 낮았으며, 65세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수급률은 24.8%로 남성 51.5%보다 26.7%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남성 육아휴직급여 수급자수는 약 6000명으로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비율은 6.2%에 불과했다. 2016년 범죄피해 불안에 대한 여성의 응답률은 72.6%, 남성은 56
이 외에 2016년 서울시 위원회 위촉직 여성위원 비율은 40.3%로 처음으로 40%를 넘었으며,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비율은 2007년 13.1%에서 2016년 20.8%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