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명의 사상자를 낳은 지난 2일 부산 해운대 엘시티(LCT) 추락사고도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인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4일 부산 해운대경찰서와 시공사인 포스코 등에 따르면 사고 당일 외부 구조물 작업을 진행하기 전 구조대를 지지하는 고정장치와 안전작업발판 등을 확인하는 안전관리와 점검 절차가 진행되지 않았다. 포스코 측이 사고 이후 유가족과 나눈 면담에서도 이런 증언이 나왔다.
포스코 측은 "안전작업발판 구조물을 끌어 올리는 작업 전 반드시 볼트 상태 등을 눈으로 확인하는데 사고 당일 작업 전에는 이 절차가 시행되지 않았다"며 "작업 관리자 등이 오후 1시부터 진행된 법정 안전교육에 참석하는 바람에 안전관리 절차가 빠진 것 같다"고 밝히며 유가족에게 사과했다.
포스코 측은 지난해 추락방지 조치를 하지 않아 관할 노동청에 적발됐고 2016년과 지난해에도 안전교육 미실시로 2차례 과태료를 부과 받은 사실이 드러나 안전불감증이 이번 사고를 부른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산고용노동청은 2016년 6월과 지난해 10월 안전교육 미실시 등으로 과태료를 부과했다.
공사비를 아끼기 위해 허술한 외벽공사 장비를 사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안전작업발판 구조물이 3개 층에 걸쳐 있고 6개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만 제일 상층에 있는 고정장치 2곳이 전체 하중을 다 받게 되고 나머지 고정장치는 구조물이 틀어지지 말도록 잡아주는 정도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하중을 층별로 고루 분산시키는 장비가 있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대다수 업체들이 사용하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해운대경찰서는 사고 당시 건물 외벽과 구조물을 고정하는 장치가 갑자기 빠진 이유를 찾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54층 안전작업발판 구조물 4개 가운데 두 번째 구조물을 55층으로 인상하는 작업 중 역삼각형 슈브라켓 4개가 이탈되면서 추락했다"며 "외벽 층마다 길이 40㎝ 크기의 앵커가 박혀 있고 이곳에 역삼각형 모양의 슈브라켓과 길이 45㎝ 크기의 볼트가 작업발판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현장을 살펴보니 슈브라켓 4개가 모두 이탈해 있었고 한 곳에서는 앵커까지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경찰은 3일에 이어 4일에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사고현장에 대한 두 차례 정밀 감식을 벌여 구조물 고정장치의 이탈 원인을 집중 분석하고 있다.
공사 외주화 과정에서 불법이 있었는지도 경찰은 살펴보고 있다. 해운대경찰서 관계자는 "포스코건설이 620억원에 건물 외벽 마감 작업을 하는
[부산 = 박동민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