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 '귀하 명의의 통장 발견' '저금리'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날이 갈수록 진화하는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에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다.
23일 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이 실제 피해사례와 시나리오, 피의자 목소리 분석을 통해 최근 사용되는 보이스피싱의 단계별 사기 수법과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공개했다. 사기범들은 주로 특정 사건에 연루됐다는 이유로 정부기관을 사칭하거나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에게 대출을 빙자해 금전을 편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에 주로 사용되는 단어는 '서울중앙지검' '사기단 검거' '자산보호조치' '귀하 명의의 통장 발견' 등이었다. 경찰·검찰 수사관인 것처럼 구체적 사실관계를 제시하고 고압적인 말투로 전문용어를 섞어 접근하는 게 주요 수법이다. 일단 피해자에게 접근한 뒤 심리적 압박으로 주변 도움을 차단하고 다시 안심시킨 후 금전을 요구하는 단계를 거친다.
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유형에는 '정부정책자금' '대출 승인' '저금리' '당일 수령' 등 단어들이 주로 쓰였다. 실제 대출상담과 동일한 상황을 설정해 심리적 압박과 동시에 신뢰를 형성해 개인정보를 탈취
경찰 관계자는 "검찰·경찰·금감원 등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거나 금융회사를 사칭해 대출을 해준다는 전화를 받은 경우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며 "해당 기관 공식 대표번호로 직접 연락해 사실관계 및 진위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