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자신이 65세에 은퇴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57세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은퇴하면 최소 월 198만원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오늘(7일) 발표한 '2018 은퇴백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25∼74세 2천453명 중 비은퇴자 1천953명이 꼽은 '은퇴 예상 연령'은 '평균 65세'로 나타났습니다.
은퇴자 500명은 자신이 62세에 은퇴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은퇴한 연령은 5년 빠른 57세로 조사됐습니다. 건강문제(33%), 권고사직 등 비자발적 퇴직(24%) 등이 조기은퇴 사유였습니다.
연구소는 "사전 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돌발적인 은퇴가 이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고 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은퇴에 경제적인 대비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습니다. 현재 생활비는 월 222만원, 은퇴 후 최소 생활비는 월 198만원이 필요할 것으로 봤습니다. '여유로운 생활'을 위해선 290만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예상보다 빨리 일을 그만둘 경우 소득을 확보할 계획이 없는 비은퇴자가 83%를 차지했습니다. 그러면서도 85%가 퇴직 후에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습니다. 재취업할 경우 희망하는 최소 급여는 194만원입니다. 격년으로 발간되는 은퇴백서에서 희망 최소 급여는 2014년 200만원, 2016년 221만원이었습니다.
노후 생활비에 필요한 '3층(공적·개인·퇴직) 연금'에 모두 가입된 비은퇴 가구는 20%에 그쳤습니다. 연금 자산이 전혀 없다는 가구도 14%에 달했습니다.
노후를 위해 정기적으로 저축한다는 가구도 2가구 중 1가구 꼴이었습니다. 저축 금액은 월 30만∼50만원 수준이었습니다.
자산의 '부동산 쏠림' 현상도 심했습니다. 비은퇴 가구는 총자산의 63%가 현재 거주하는 주택이었습니다. 거주 외 부동산까지 합치면 부동산 자산의 비중은 77%에 달했습니다. 부채는 가구당 평균 9천380만원이었습니다.
연구소는 "우리나라 가구의 부동산 자산 편중 현상이 과도하다"며 "은퇴 후 삶을 부동산 자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부동산 가치 하락 시 급격한 재무 악화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후 의료비 마련 방안은 민영 건강보험(73%), 금융상품(62%), 부동산 등 현물자산(38%) 순서로 꼽았습니다. 50대 응답자의 약 90%는 1개 이상 민영 건강보험에 가입한 상태였습니다.
은퇴자의 57%는 '미리 준비하지 못해 후회하는 보험상품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의료비를 준비하지 못한 은퇴자의 46%가 의료실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을 후회했고, 의료비를 준비한 은퇴자는 장기간병보험(LTC)과 치아보험을 꼽았습니다.
연구소는 우리나라 노후준비의 문제점 중 하나가 자녀부양을 노후준비보다 우선시하는 태도라고 지목했습니다. 자녀가 있는 비은퇴자의 53%는 '노후준비가 어렵더라도 자녀를 우선 지원하겠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노후에 자녀가 자신을 돌봐줄 것으로 기대하는 경우는 20%에 불과했습니다.
은퇴자들은 평균 71세는 돼야 '노인'이라는 인식을 했습니다. 비은퇴자들이 꼽는 노인의 연령은 평균 69세 이상이었습니다. 은퇴자들 사이에서는 60세를 노인으로 여기는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습니다.
이혼하지 않는 대신 별거하거나 생활공간을 분리하는 '졸혼'에 대해 남성은 22%, 여성은 33%가 긍정적 견해를 보였습니다. 연구소는 "현재의 중년층이 은퇴 연령기에 이를 경우 졸혼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한 형태로 자리 잡을 가능
'누구와 함께 있을 때 가장 즐거운지'를 묻자 남성 은퇴자는 33%가 '배우자'를 꼽은 반면, 여성 은퇴자는 31%가 '자녀'를 꼽았습니다.
20∼30대는 53∼55%가 아침식사를 아예 거르거나 1주일에 1∼2차례 정도만 먹는다고 답했습니다. 또 20대의 46%, 30대의 42%는 아침식사를 혼자 먹는다고 답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