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마운티니어링’ 컬렉션 매진 행렬
매장 앞 수십 명 ‘오픈런’…온라인몰 ‘광클’
매장 앞 수십 명 ‘오픈런’…온라인몰 ‘광클’
유니클로가 일본의 고가 브랜드 ‘화이트 마운티니어링’과 협업한 제품을 오늘(15일) 공개했습니다. 신명품과의 콜라보로 한국 패션업계 시장서 재기를 노릴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수십 명의 대기 줄이 이어졌습니다. 온라인몰은 품절 사태가 빚어졌습니다.
패딩 ‘300만 원’→‘15만 원’…매장 앞 오픈런
![]() |
↑ 유니클로와 화이트마운티니어링이 협업한 하이브리드 다운 오버사이즈 파카 남성용 / 사진= 유니클로 홈페이지 캡처 |
이날 유니클로는 전국 매장과 온라인몰에서 ‘유니클로&화이트 마운티니어링 컬렉션’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화이트 마운티니어링’은 일본의 아웃도어 브랜드로 지난 2006년 디자이너 요스케 아이자와가 설립한 브랜드로 젊은 층 사이에서 신명품으로 불립니다.
해당 브랜드의 패딩은 평균 300만 원대, 봄가을 재킷은 200만 원대로 고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에 유니클로와 협업을 통해 최저 4만 원~최고 15만 원 대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일각에서는 유니클로의 한정판 마케팅에 회의적인 시각을 제기했습니다. 누리꾼들은 “1만5천 원 해도 안 사겠다”, “유니클로에선 15만 원도 고가다”, “아직도 유니클로 가는 사람이 있다는 게 신기하다”며 부정적인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이날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등 일부 매장 앞에는 오픈 전부터 구매자들이 대기 줄을 서는 ‘오픈런’ 풍경이 벌어졌습니다.
온라인몰에서는 오전 9시 기준 하이브리드 다운 오버사이즈 파카가 남성용 제품은 전사이즈 품절됐습니다. 이외에도 카키, 네이비 색상도 4XL 사이즈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품절됐습니다.
여성용 제품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이브리드 다운 오버사이즈 파카 베이지 색상은 3XL 사이즈를 제외하고 모든 사이즈가 품절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유니클로가 불매운동 여파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회심의 카드로 꺼낸 브랜드와의 협업 전략이 통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2030 세대들이 열광하는 신흥 명품 브랜드와의 콜라보로 ‘샤이 유니클로족’ 들의 유입을 꾀하는 데 막강한 영향력이 있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몸집 줄이고 유명 브랜드 맞손…흑자 전환
유니클로는 2019년 일본 불매운동의 타격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축소하고, 온라인몰을 확대하는 등 생존 방식 전환에 나섰습니다. 매장 수를 30%가량 줄이며 비용 효율화에 나선 결과 영업이익 19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당시 패스트리테일링은 대한국 수출규제를 계기로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의 여파가 2021년도 영업이익에도 적자를 미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연간 실적 발표에 따르면 목표를 초과 달성한 셈입니다.
그 배경에는 온라인몰 강화와 한정판 마케팅에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동안 유니클로는 고가 디자이너 브랜드 르메르(Lemaire), 띠어리(Theory), JW 앤더슨(JW ANDERSON)과의 협업으로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질 샌더와 협업한 ‘
유니클로 관계자는 “앞서 세계적인 디자이너 크리스토퍼 르메르가 참여한 컬렉션 등도 인기를 끌었다”며 “이번 협업 컬렉션은 뛰어난 소재와 모던한 디자인으로 구성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김지영 디지털뉴스 기자 jzero@mbn.co.kr]